오합지졸 통합당, ˝회의장 나오지 마라˝ 전화..`김종인 저지 작전`
당권 노리는 중진들, 시·도당위원장들에 전국위 불참 독려 정족수 미달.. 김종인 비대위 기간 보장해줄 당헌 개정 불발 유승민·홍준표도 金에 부정적.. 당 "풍지박산" 일로에..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 입력 : 2020년 04월 29일 07시 48분
|
 |
|
↑↑ 28일 저녁 서울 종로구 자택으로 귀가한 김종인(오른쪽) 전 미래통합당 총괄선거대책위원장과 그를 기다리던 통합당 심재철 대표 권한대행이 악수를 하고 있다. 20분을 기다린 심 권한대행은 김 전 위원장 자택으로 들어가 30분가량 대화를 나눴다.(사진 = OM뉴스) |
ⓒ 옴부즈맨뉴스 |
| [서울, 옴부즈맨뉴스] 조관형 취재본부장 = 미래통합당이 28일 전당대회 이전까지 '관리형 비상대책위원회'로 가는 방향을 택하고, 김종인 전 위원장이 "이런 비대위원장이라면 할 수 없다"며 거부 의사를 밝히면서 총선 패배 이후 당이 풍지박산 일로에 놓이게 됐다.
당 안팎에서는 "당권(黨權) 장악에 혈안이 된 중진들과 대선 욕심을 내는 일부 인사가 총선 패배로 침몰하는 당을 아예 심해(深海)로 밀어 넣었다"는 비판이 나왔다.
▲ 넉 달짜리 비대위, 김종인에게 던졌다. 하지만 “김종인은 NO"
통합당 상임전국위는 이날 오후 2시부터 여의도 63빌딩에서 개최될 예정이었다. 상임전국위 핵심은 8월 31일까지 전당대회를 열어야 한다는 규정을 삭제하는 것이었다. 이것이 '김종인 체제'가 출범하기 위한 선결 조건이었기 때문이다. 앞서 김 전 위원장은 "당이 대선을 치를 준비가 될 때까지는 충분한 임기가 보장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전체 상임 전국위원 45명 가운데 17명만 출석, 과반수 미달로 성원을 채우지 못했다. 비대위원장 임기 제한 규정을 심의해 올리면 전국위가 추인·의결한다는 계획이 첫 단추부터 틀어진 것이다.
회의장 밖에서는 일부 당원이 "김종인 비대위 반대한다. 조기 전당대회 개최하라" "비상(식)대책위 아닙니까? 미래를 맡기라고요?"라고 적힌 플래카드를 들어 보이기도 했다.
이후 재적 위원 과반(330명)을 채워 개최된 전국위 회의장 안에서도 "당헌·당규 무시하고 왜 제멋대로 해!" "당을 이 꼬락서니로 만들면 어떡하느냐!"는 고성이 터져 나왔다.
정병국(5선·경기 여주·양평) 의원 등은 "일방적 표결은 의미가 없다"면서 도중에 회의장을 박차고 나오기도 했다.
찬성 177표로 임기 4개월짜리 '김종인 비대위' 체제가 가결되자, 이에 대해서도 일부 전국위원은 거세게 반발한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전대가 열리는 8월까지 가동되는 '관리형 비대위'로 결론이 났으나 이에 대해서도 논란이 컸던 것이다.
당 안팎에서는 "당권 도전을 공식화한 일부 중진이 김 전 위원장의 자진 거부를 유도한 것"이라는 말이 나왔다.
▲ 黨權 노린 중진들 불참 독려한 듯
5선에 성공한 조경태(부산 사하을) 의원과 김태흠(3선·충남 보령·서천), 조해진(3선·경남 밀양·의령·함안·창녕) 의원 등은 줄곧 "조기(早期) 전당대회로 가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상임전국위 불발' 배경에는 일부 중진 의원의 '물밑 작업'이 결정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김 전 위원장이 본지 인터뷰에서 "40대 경제통 대선 후보 만들겠다" "세대교체에 나서야 한다"고 밝힌 것에 대한 반발로 해석됐다. 실제 당권에 욕심이 있는 중진은 최근까지도 상임전국위원·전국위원들에게 "참석하지 말라"고 불참을 독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심재철 당대표 권한대행이 주도한 비대위 구성 절차를 문제 삼으면서, 정작 자신들도 당의 의사결정 절차를 절름발이로 만들어 무산시킨 셈이다.
김 전 위원장이 "2017년 대선에 나왔던 이들은 시효가 끝났다"고 하면서, 무소속 홍준표 전 대표, 유승민 의원 등이 반발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심재철 원내대표도 이런 기류를 파악하고 김무성·정우택 의원 등과 접촉하면서 설득에 나섰지만 역부족이었다.
조경태 의원은 이날 전국위가 김종인 체제를 승인하자 "상임전국위가 무산됐기 때문에 전국위도 열어서는 안 됐다"며 "김 전 위원장이 8월 31일까지 맡을 것인지에 대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했다.
통합당은 새누리당 시절인 2016년 총선 패배 직후 '김용태 혁신위'를 추진하다가 친박(親朴)계가 조직적으로 참석 거부를 유도하면서 전국위가 무산된 전례를 반복했다.
당시 원내대표였던 정진석 의원은 "친박의 자폭 테러로 당이 공중분해됐다"고 했었다. 그는 이날 상임전국위가 무산된 직후 본지 통화에서 "4년 전과 똑같은 일이 벌어졌다. 상임전국위 불참을 종용한 일이 벌어졌다면, 굉장히 비민주적인 행태"라고 했다.
당내 초·재선 사이에서는 "국민에게 이렇게 혼이 났는데 중진들이 기득권 집착을 버리지 못했다"는 비판이 나왔다.
통합당 청년비대위 관계자는 "세대교체와 중도로의 확장을 중진이라는 사람들이 앞장서 거부한 셈"이라고 했다.
김학용(3선·경기 안성) 의원은 "국민에게는 '자기네끼리도 싸우기만 하는 야당'으로 비칠 수밖에 없다"고 했다. |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  입력 : 2020년 04월 29일 07시 48분
- Copyrights ⓒ옴부즈맨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가장 많이 본 뉴스
아고라
OM인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