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잇따른 사망 사건이 발생한 서울 하계동 아파트의 관리사무소(사진 = OM뉴스) |
ⓒ 옴부즈맨뉴스 |
| [서울, 옴부즈맨뉴스] 최근 서울 노원구 하계동 한 아파트 단지(총 1200가구)에서 관리사무소 경리직원과 소장이 잇따라 극단적 선택을 했다.
서울노원경찰서 등에 따르면, 비극은 지난해 12월 26일 시작됐다. 관리사무소에서 경리직원으로 일하던 50대 여성 A씨가 출근하지 않고 상계동 자택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이다. 그는 관리소장인 60대 남성 B씨에게 “죄송하다” 취지의 문자 메시지를 남겼다.
▲ 경리직원, 공사비 지급 미루다 “죄송하다”
이 아파트는 노후 수도관 교체 공사를 진행 중이었다. 주민들이 모아온 장기수선충당금 중 12억 원을 공사비로 쓸 계획이었다.
계약금 2억원은 공사 업체에 문제없이 지급됐다. 그러나 중도금 지급에서 문제가 불거졌다. A씨는 대금 지급을 미뤄왔고, 관리소장 B씨가 "돈을 빨리 전달하라"고 요구하던 중 A씨는 극단적 선택을 했다.
|
 |
|
↑↑ 2019년 12월 31일 서울 노원구 하계동의 한 아파트 관리사무소. 최근 잇따라 극단적 선택을 한 경리직원 A씨와 관리소장 B씨의 근무지다.(사진 = OM뉴스) |
ⓒ 옴부즈맨뉴스 |
|
▲ 관리비 통장 열어 보니 ‘텅’
주민들이 관리사무소로 몰려가 장기수선충당금 통장을 확인했다. 회계장부와 다르게 돈은 300만원가량만 남아 있었다. 10억 원 이상이 사라진 것이다.
A씨 사망 이틀 뒤 주민들은 단지 곳곳에 ‘비상주민대책위원단모집’ 안내문을 붙였다. 안내문에는 “우리 아파트 경리가 관리비 공금 횡령 후 자살을 하게 되는 비상사태가 일어났습니다”라는 내용이 포함됐다. 한 부동산 공인중개사도 “A씨가 주식 투자로 큰돈을 잃자 공금에 손을 댄 게 아니냐는 말이 돈다”고 전했다.
당일(12월 28일) 오후 9시 관리실에 모인 주민들은 관리소장 B씨에게 목소리를 높였다. “관리 책임자인 당신도 횡령에 가담한 게 아니냐”는 성토였다.
2019년 12월 28일 사건 발생 아파트에 붙은 게시물(사진 = OM뉴스)
▲ 관리소장, 의심 받자 뒤따라…
그러자 B씨는 이틀 후인 30일 근무하는 아파트 지하실에서 극단적 선택을 했다. 유족에 따르면 B씨는 “A씨의 횡령 의혹에 대해선 모르고 있었다”는 취지의 유서를 남겼다.
평소 B씨와 교류했다는 인근 아파트 관리사무소 관계자는 “B씨는 주민들의 피해 금액을 메워줘야 할 수 있다는 압박감에 시달린 것 같다”며 “금전적으로도 여유가 없고 명예도 실추돼 극단적 선택을 한 듯하다”고 말했다.
주민들은 1월 2일 노원경찰서에 “의혹을 밝혀달라”며 고발장을 제출했다. 경찰은 “실제 횡령 사실이 있었는지, 있었다면 A씨 단독 범행인지, B씨도 가담했는지, 그 외에 관여한 사람이 또 있는지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사건을 파악하겠다”는 입장이다.
서울시와 노원구청은 오는 6일부터 이 관리사무소 회계장부에 대한 특별감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 노후수도관 공사 중단 위기
주민들은 공사비 지급 지연에 따라 노후 수도관 교체 공사가 중단될 가능성을 염려하고 있다. 300만원만 남은 장기수선충당금을 메우기 위해선 각 가구당 100만 원가량씩 내야 할 수도 있다.
이미지 훼손에 따라 집값 하락 우려도 제기된다. 노후 수도관 공사를 맡은 업체 관계자는 “공사를 잘 마무리할 것이다”라고 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