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옴부즈맨뉴스] 강병훈 반려동물전문기자 = 반려동물이 전국에서 네번째로 많이 등록된 인천에서 '반려동물 화장장' 건립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31일 부평구는 최근 유정복 인천시장이 참석한 토론회에서 인천가족공원 안에 '반려동물 화장장'을 세워달라고 재차 건의했다.
부평구의 화장장 건립 제안은 2014년에 이어 두 번째다.
인천의 다른 기초단체장들도 반려동물 화장장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있
2015년 현재 인천에는 전국에서 네번째로 많은 62,109마리가 반려동물로 등록됐다.
등록하지 않은 동물까지 합치면 103,00천마리를 넘지만 인천에는 동물 장묘시설이 하나도 없다.
이로 인해 가족이나 마찬가지인 반려동물이 죽을 경우 인근 시·도에 있는 화장터를 찾아야 하고, 어쩔 수 없이 폐기물로 처리하는 상황에 내몰린다는 것이다.
경기도 김포시의 경우 장묘 시설 3곳이나 있어 이곳을 찾을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이미 인천 10개 군·구 단체장이 모인 군수·구청장 협의회는 2014년말 부평구가 내놓은 '인천가족공원 내 반려동물 화장시설 건립안'을 가결했다.
당시 인천시가 "인천가족공원은 묘지공원으로 지정된 도시계획시설이어서 묘지 외에 다른 용도의 시설은 들어설 수 없다"는 반대 의견을 내놓으면서 화장장 건립은 2년째 제자리걸음을 했다.
부평구 관계자는 "민간 동물 화장장을 지으려 해도 녹지나 주거지 인근을 피해야 하는 등 기준이 까다로워 쓸 만한 화장장 부지가 마땅치 않다"며 "인천가족공원 내에 화장장을 설치하면 비용도 적게 들고 수익성도 충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시민들은 공원묘지에 동물 화장장을 함께 설치하는 방안을 반대하기도 한다.
반려동물 화장장 건립 자체에는 반대할 이유가 없지만 '동물' 화장장을 일반 시민들이 쓰는 장례시설에 함께 두는데 따른 거부감이다.
|
 |
|
↑↑ 반려동물 장례식장의 모습 |
ⓒ 옴부즈맨뉴스 |
|
현재 국내에 있는 동물 장묘시설은 총 16곳으로 모두 민간이 운영한다.
지자체 중에서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경남 창원시가 공공 동물장묘시설을 짓는 계획을 지난 18일 발표했다.
시 관계자는 "당초 도시계획 문제 외에도 화장 시설에 대한 주민 반대가 예상돼 건립안이 반려됐다"며 "수도권매립지 내에 화장장을 포함한 동물보호소를 짓는 안을 구상하고 있지만 이른 시일 안에 화장장을 건립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강병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