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봅슬레이를 셰계 정상으로 끌어 올린 한체대 강광배 교수 |
ⓒ 옴부즈맨뉴스 |
|
[서울, 옴부즈맨뉴스] 유용남 기자 = 국내 썰매 종목의 개척자인 강광배(43) 한국체대 교수가 체육계 일각의 무책임한 폭로로 한때 비리 의혹에 휩싸였지만 검찰 수사로 혐의를 떨어냈다.
27일 검찰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는 강 교수에 대해 경찰이 공갈과 강요, 업무상 횡령 등의 혐의를 적용해 기소 의견으로 송치한 사건을 최근 불기소 처분했다고 밝혔다.
작년 6월께 검찰로 넘어온 이 사건은 강 교수가 국가대표 봅슬레이팀을 이끌던 2008∼2010년 각종 부정을 저질렀다는 의혹을 담고 있었다. 2008년 7월 강원도체육회로부터 봅슬레이 구입을 위해 지원받은 돈 중 3천400여만원을 빼돌리고 2009∼2010년 후배 코치들에게 지급된 수당 등 7천여만원을 가로챘다는 게 골자였다.
강 교수가 2010년 선수단 합숙소로 활용하던 강원도 평창의 펜션에서 선수들에게 강제노역을 시켰다는 의혹도 있었다. 어머니 소유의 펜션을 보수하기 위해 선수들이 원하지도 않은 잡일을 시켰다는 내용이었다.
체육계 일각에서 정제되지 않은 채 흘러나온 제보를 토대로 경찰의 수사가 진행됐지만 검찰은 이런 의혹들이 모두 사실무근이라고 결론 내렸다.
강 교수가 해외 제작사와 가격 협상을 벌여 봅슬레이 구매 대금 중 일부를 돌려받은 사실은 있었지만 이 돈은 곧바로 봅슬레이 부품을 추가 구매하는 데 사용됐을 뿐 유용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강 교수가 2008∼2009년 코치들과 함께 찍은 광고 촬영료와 대한봅슬레이·스켈레톤 연맹으로부터 받은 지원금 등 5천만원 정도를 사적인 용도에 썼다는 의혹은 수사의 쟁점사항이었으나 이를 밝혀내지 못했다.
평소 사비를 아끼지 않고 대표팀의 각종 비용을 댔던 강 교수가 편의상 본인 금융계좌에 촬영료와 지원금 등을 함께 집어넣고 공사비용을 혼용한 게 문제가 됐다. 하지만 재정 지원이 부족했던 대표 팀 초창기의 미숙한 회계 관행 때문으로 봐야한다는 판단이었다.
국가대표팀의 살림치고는 턱없이 부족한 재정 형편이 근본 원인이었다. 적정한 훈련비만 끊김 없이 나왔어도 문제될 일은 없었다는 것이다.
실제로 사적 유용 의혹을 낳은 강 교수의 신용카드 지출 내역 중에는 상당수가 훈련비 등 대표팀의 공적 용도로 쓰인 사실이 확인됐다.
강 교수가 자비를 보태 구입한 훈련장비를 봅슬레이·스켈리톤 연맹에 기증하는 등 물심양면으로 썰매 종목 발전에 헌신한 점도 고려됐다.
결국 검찰은 이 사안도 재판에 넘기지 않고 기소유예했다.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등에 비춰 죄가 되지 않는다고 할 수는 없지만 기소할 사안도 아니라는 것이다.
강 교수는 불모지나 다름없었던 국내 썰매 종목의 지도자 겸 선수로 활동하며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19위의 기적을 일군 개척자다.
그가 닦아놓은 길을 따라 성장해 온 한국 봅슬레이 대표팀이 최근 월드컵 대회에서 세계 정상에 오르는 등 희소식이 잇따르고 있다.
강 교수는 이 사건으로 1년을 넘게 마음고생을 했다. 이제 모든 의혹의 짐을 내려놓고 후진 양성에 힘을 쏟을 수 있게 됐다.
유용남 기자
|
누군가 힘들고 어려운 일을 해서 공을 세우면 배아파하는 사람들이 음해하여 일어난 일이 군요. 감독님 림내세요
01/27 13:45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