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대형 공모사업 선정자를 연거퍼 바꿔치기를 한 광주광역시 전경(사진 = OM뉴스) |
ⓒ 옴부즈맨뉴스 |
|
[광주, 옴부즈맨뉴스] 이용면 취재본부장 = 검찰이 호반건설이 포함된 광주 민간공원 특례사업 특혜 의혹 사건과 관련, 30일 광주시 고위 공직자들을 피의자로 전환하면서 수사가 정점으로 치닫고 있는 양상이다.
특히 검찰이 이 사업을 주도한 정종제 행정부시장 등을 조만간 소환조사할 것으로 알려져 지역 관가에도 비상이 걸렸다.
광주시 공직사회는 사건의 여파가 시 최고위층까지 미치지 않을까 긴장하고 있다.
검찰은 광주시가 사업자 모집 공고에 명시된 규정을 어기고 호반건설 측이 제기한 이의를 이례적으로 받아들여 재심의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일부 공직자들의 직권남용 등 혐의 일부를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과 광주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11월 7~8일 민간공원 특례 2단계 사업 제안심사위원회 평가회를 열어 중앙공원 2지구 사업에서 금호산업을 1순위로 선정했다. 그런데 8일 저녁 이 사업 주관 부서인 환경생태국의 일부 간부 공무원들이 시의회 의장 등에게 업체 평가 내용이 담긴 심사평가서를 유출했다.
이어 나흘 뒤인 같은 달 12일 호반건설 계열사인 광주방송(KBC) 임모 보도국장이 정 부시장을 만났고, 3일 뒤인 15일 시는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 결과에 대해 일부에서 심사과정의 공공성 및 관련 법규 준수 여부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며 “감사위원회가 감사를 실시토록 해 그 결과에 따르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후 정 부시장이 특정감사를 지시했고, 41일 만인 12월 19일 광주시는 감사 결과를 내세워 중앙공원 2지구 사업 우선협상대상자를 금호산업에서 호반건설로 최종 변경했다.
정 부시장은 당시 “평가점수 사전 유출 논란 등으로 사업의 원활한 추진이 어려워지자 선제적으로 감사를 실시했다”고 밝힌 바 있다.
검찰 수사가 전방위로 이뤄지면서 시는 수사의 종착점이 최고위층까지 확대될지 촉각을 곤두 세우고 있다. 규정을 어기면서까지 실시된 ‘특정감사’를 정 부시장이 과연 단독으로 결정했겠느냐는 소문이 떠도는 이유다.
지역 유력 정치인의 인척이 호반건설과 밀접하게 사업관계로 엮여 있다는 얘기도 돌고 있다.
이번 수사는 광주경실련이 지난 4월 “업체 선정과정에서 평가점수가 사전에 유출되는 등 문제가 있다”며 관련자들을 검찰에 고발하면서 시작됐다.
검찰은 호반건설이 참여한 중앙공원 2지구 사업에 이어 광주도시공사에서 ㈜한양으로 우선협상대상자가 바뀐 1지구 사업까지 수사하고 있다. 지난 27일에는 광주도시공사 임원실 등을 압수수색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