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7-01 오후 03:24:17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전체 정치·경제·사회 지자체·공공기관 국방·안보 교육 건강·환경·안전 글로벌(외신) 문화·예술 연예·스포츠
뉴스 > 정치·경제·사회

노무현 전 대통령 10주기, 이 총리 ˝노무현 방해하던 기성질서 그대로…멈추지 않겠다˝

"기성질서는 盧 정신 무시하고 모멸하며 조롱해"
"세상의 왜곡으로부터 대통령 지키지 못해 송구"
"고통은 각성 줬고, 각성은 촛불혁명 동력으로 작용"
"결코 외로운 산 아냐…대통령 뒤에는 산맥으로 이어져"
"앞으로도 고통과 각성 일깨울 것…늘 깨어있겠다"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입력 : 2019년 05월 23일 17시 35분
↑↑ 이낙연 국무총리가 23일 오후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서 열린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0주기 추도식에서 추도사하고 있다. 2019.5.23.(사진 = OM뉴스)
ⓒ 옴부즈맨뉴

[김해, 옴부즈맨뉴스] 노익 취재본부장 = 이낙연 국무총리는 23일 "노무현 대통령을 방해하던 잘못된 기성질서는 그대로 남았다. 그래도 저희들은 멈추거나 되돌아가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이날 오후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서 열린 노무현 전 대통령 추도식에 참석, "대통령이 꿈꾸던 세상 이루기까지는 갈 길이 멀다. 그래도 저희들은 그 길을 가겠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노 전 대통령이 생전에 스스로를 고향 김해 진영에 있는 '봉화산'에 빗대 말한 사실을 언급하며 추도사를 시작했다.

이 총리는 "대통령께서는 생전에 스스로를 봉화산 같은 존재라고 표현했다. 연결된 산맥 없이 홀로 서 있는 외로운 산이라고 말했다"며 "그러나 대통령은 결코 외로운 산이 아니시다. 대통령 뒤에는 산맥이 이어졌다. 이미 봉화산은 하나가 아니다. 국내외에 수많은 봉화산이 솟았다"고 언급했다.

↑↑ 고 노무현 전 대통령 부인 권양숙 여사와 아들 노건호씨가 23일 오후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서 열린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0주기 추도식에서 묘역에 분향한 후 묵념하고 있다. 2019.05.23.(사진 = OM뉴스)
ⓒ 옴부즈맨뉴스

그는 "대통령의 생애는 도전으로 점철됐다"며 "불의와 불공정을 타파하고 정의를 세우려 끊임없이 도전했고, 지역주의 비롯한 강고한 기성질서에 우직하고 장렬하게 도전해 '바보 노무현'으로 불리실 정도였다. 대통령으로 일하시면서도 도전을 멈추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기성질서는 대통령의 도전을, 아니 대통령 자체를 수용하지 않으려 했다. 그들은 대통령을 모멸하고 조롱했다. 대통령의 빛나는 업적도 그들은 외면했다"며 "대통령은 저희가 엄두내지 못했던 목표에 도전하셨고, 겪어보지 못했던 좌절을 감당하셨다. 그런 대통령의 도전과 성취와 고난이 저희들에게 기쁨과 자랑, 회한과 아픔으로 남았고 저희를 봉화산의 산맥으로 만들었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대통령의 도전은 보통사람들의 꿈이었다. '사람사는 세상'을 구현하려는 대통령의 정책은 약한 사람들의 숙원을 반영했다. 사람들은 처음으로 대통령을 마치 연인이나 친구처럼 사랑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사랑에는 고통도 따랐다. 대통령의 좌절은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깊은 아픔을 줬다. 가장 큰 고통은 세상의 모멸과 왜곡으부터 대통령을 지켜드리지 못했다는 자책이었다"고 회상했다.

그러면서 "고통은 각성을 줬고, 대통령 퇴임 이후의 전개는 그 각성을 더 깊게 했다"며 "늘 경계하지 않으면 민주주의도 정의도 위태로워진다는 것을 사람들은 알게 됐다. 최선으로 공들이지 않으면 평화도 안전도 허망하게 무너지게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사람들은 대통령의 말씀대로 깨어있는 시민이어야 한다는 것을 각성했다"고 거듭 말했다.

이 총리는 "각성은 현실은 바꾸기 시작했다"며 "지역주의가 완화돼 선거에 변화를 가져왔다. 전남과 경남은 남해안 발전에 협력하고 있다. 대구와 광주는 달빛동맹으로 공조한다. 사회는 다양성을 더 포용하게 됐다. 약자와 소수자를 보는 사회의 시선도 조금씩 관대해졌다"고 지적했다. 이어 "사람들의 각성은 촛불혁명의 동력 가운데 하나로 작용했다"며 "촛불혁명으로 탄생한 문재인 정부는 대통령이 못다 이룬 꿈을 이루려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끝으로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 했지만 저희 마음 속의 대통령은 하나도 변하지 않았다"고 했다. 아울러 "대통령은 지금도 저희들에게 희망과 고통과 각성을 일깨운다. 그것을 통해 대통령은 저희들을 깨어있는 시민으로 만들고 있다. 대통령은 앞으로도 그렇게 하실 것이다. 저희도 늘 깨어있겠다"며 추도사를 마쳤다.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입력 : 2019년 05월 23일 17시 35분
- Copyrights ⓒ옴부즈맨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포토&동영상
가장 많이 본 뉴스
아고라
OM인물
회사소개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
상호: (주)옴부즈맨뉴스 /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 277번길 51-21 / 발행인: 김형오. 편집인: 김호중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형오
mail: ombudsmannews@gmail.com / Tel: 02)3147-1112, 1588-4340 / Fax : 02) 364-313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1175 / 등록일2015-02-25
Copyright ⓒ 옴부즈맨뉴스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