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안철수 의원이 8일 마포구 신당 당사에서 열린 창당준비점검회의에서 참석자들과 박수를 치고 있다. 왼쪽부터 유성엽 의원, 문병호 의원, 황주홍 의원, 김한길 의원, 한상진 창당준비위원장, 안철수 의원, 김동철 의원. ⓒ 옴부즈맨뉴스 |
| [서울, 옴부즈맨뉴스] 최경식 취재본부장 = 안철수 의원이 성급한 인재 영입으로 거센 비판에 직면했다. 당내 국방과 검찰 개혁을 맡을 이 분야 전직 고위 공무원들을 지난 8일 영입했지만, 뒤늦게 그들의 비리 전력이 확인되면서 영입을 취소하는 헤프닝이 벌어졌다. 어설픈 첫 인재 영입은 실패로 끝났다. 십고초려로 다시 모셔 온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 영입도 ‘국민의당’이라는 신 당명도 모두가 퇴색되고 말았다. 한상진 공동 창당준비위원장은 이날 오후 3시30분에 기자회견을 열고 김동신(75·광주) 전 국방장관, 허신행(74·전남 순천) 전 농수산부 장관, 한승철(53·광주) 전 대검 감찰부장, 이승호 전 육군본부 작전처장(56·전북 군산), 안재경 전 경찰대학장(58·전남 장흥) 등 5명의 영입을 발표했다. 호남 출신 인사들을 신당의 전면에 포진시켜 호남 민심을 배려하면서 동시에 국가안보와 사회안전 영역에서 전문성도 확보한다는 차원에서 추진된 첫 번째 영입케이스였다. 그러나 국민의당은 영입 발표 3시간 뒤인 이날 오후 6시20분에 김 전 장관과 허 전 장관, 한 전 부장이 각각 과거에 비리 사건에 연루됐다는 점을 고백하며 입당을 전격 취소했다. 이들은 안 의원이 탈당 전후로 강조해온 인재 영입 기준에 정면으로 배치됐다는 이유에서다. 안 의원은 새정치민주연합 시절 부패 혐의로 기소된 인사에 대한 당원권 정지, 공천 배제 등 무관용 원칙을 주장했고, 신당에서도 이 같은 원칙을 적용한다고 강조해왔다.
특히 그는 이날 오전 열린 창당준비점검회의에서도 “인재 영입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되 부정부패에 대해 단호하게 대처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하기도 했다.
안 의원은 이에 대해 “먼저 진심으로 사과를 드린다”며 “창당 준비과정에서 철저한 검증시스템을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의욕이 앞서다 보니 오류와 실수가 있었다”고 잘못을 시인했다. 이어 “창준위 발족 후에는 보다 체계적인 검증 시스템을 갖춰서 이런 오류가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안철수 신당은 이날 윤 전 장관과 한상진 서울대 명예교수를 공동 창준위원장으로 공식 인선하고 동시에 당명을 ‘국민의당’으로 확정 발표하는 방식으로 세 과시에 나설 계획이었다. 그러나 발기인대회를 앞두고 인재 영입 실패라는 자충수로 오히려 당에 찬물을 끼얹었다.
최경식 ombudsmannews@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