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주택 전국 1위·2위 이건희 회장 한남동 자택 398억 원 50% 이상 올라..
3위 이명희 279억 원 41.6%↑, 4위 정용진 271억 원 42.6%↑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 입력 : 2019년 03월 31일 10시 55분
|
 |
|
↑↑ 개별 단독주택 공시가격 2위를 차지한 용산구 이태원동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 자택(사진 = 서승만 기자) |
ⓒ 옴부즈맨뉴스 |
|
[세종, 옴부즈맨뉴스] 유준성 취재본부장 = 전국 개별단독주택의 공시 예정가격이 최근 지자체별로 공개된 가운데 전국 단독주택 중에서 가장 비싼 서울 용산구 한남동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자택의 공시가격이 50% 이상 오르며 400억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지자체들과 서울 부동산정보조회시스템 등에 따르면 단독주택 역대 랭킹 1위인 이 회장의 한남동 자택의 공시가격은 작년 261억 원에서 올해 398억 원으로 52.4% 오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집은 작년에는 전년에 비해 15.3%(40억 원) 올랐으나 올해에는 주변 초고가 표준단독주택과 보조를 맞춰 50%가 넘는 상승률을 기록하며 1위 자리를 거뜬히 지켰다.
올해 용산구의 표준단독 가격 상승률은 35.4%였으나 한남동 등 고가주택 밀집지역에서는 50% 넘게 가격이 뛰는 주택이 속출했다.
개별단독은 표준단독 주택 가격을 기준으로 공시가격이 책정되는 만큼 주변 주택과 비슷한 수준으로 오른 것으로 보인다.
1가구 1주택자로 가정했을 때 이 집에 부과된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등 보유세는 4억3천31만5천원에서 6억4천108만8천원으로 48.9% 오른다.
2위도 이태원동의 이 회장 소유 주택으로 235억원에서 338억원으로 43.8% 상승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보유세도 3억7천671만3천원에서 5억6천112만2천원으로 48.9% 오른다.
3위는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의 한남동 주택으로 197억 원에서 279억 원으로 41.6%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1월 표준단독 공시가가 발표됐을 때 이 회장의 또 다른 한남동 주택이 평가되며 표준단독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이 회장의 바로 옆에 있는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의 집은 공시가가 190억 원에서 271억 원으로 42.6% 상승했다.
이 외에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의 한남동 자택은 공시가가 73억 원에서 113억원으로 54.7% 올랐다.
현대가의 큰 제사가 열릴 때마다 현대가 사람들이 모여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곳이다.
작년 별세한 구본무 LG그룹 회장의 자택도 한남동에 있는데, 공시가가 90억4천만 원에서 131억 원으로 44.9% 오른 것으로 파악됐다.
|
 |
|
↑↑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격 1위를 차지한 이명희 회장 한남동 주택(사진 = 서승만 기자) |
ⓒ 옴부즈맨뉴스 |
| 현재 이 집은 김영식 여사와 두 딸에게 상속된 상태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한남동 자택은 88억원에서 126억 원으로 43.1% 오른다.
이 주택은 표준단독에서 개별단독으로 전환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작년 12월 표준단독 소유자 의견수렴 때 공시 예정가가 132억 원으로 공개됐다가 올해 1월 표준단독 본 공시에서는 재건축으로 멸실됐다는 이유로 제외된 바 있는데, 이번에 개별단독으로 다시 공시되면서는 공시가격이 깎였다.
이 외에 성북구 성북동이나 종로구 평창동 등 전통적인 부촌에 거주하는 연예인들의 집도 공시가가 한남동보다 높지 않지만 적잖이 오른 것으로 파악된다.
'연예 대통령'으로 불리는 가수 서태지씨의 평창동 자택은 23억5천만 원에서 26억4천만 원으로 12.3% 오른다.
축구계의 '레전드' 차범근 전 감독의 평창동 집은 18억 원에서 19억7천만 원으로 9.4% 상승한다.
한류스타 배용준씨와 탤런트 박수진씨의 성북동 자택은 35억7천만 원에서 44억9천만 원으로 25.7% 오르는 것으로 파악된다. |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  입력 : 2019년 03월 31일 10시 55분
- Copyrights ⓒ옴부즈맨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가장 많이 본 뉴스
아고라
OM인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