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공대 부지 발표했지만…˝비용 문제는 아직˝ 개교 난항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 입력 : 2019년 01월 28일 16시 57분
|
 |
|
↑↑ 한전공대 부지로 선정된 전남 나주시 부영CC 일원 모습 |
ⓒ 옴부즈맨뉴스 |
| [서울, 옴부즈맨뉴스] 이용면 취재본부장 = 한전공대 부지 선정 최종 결과가 나왔지만 자금 문제로 인해 개교를 하기 까지는 난항이 불가피 할 것으로 보인다.
28일 서울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서 열린 '한전공대 범정부 지원위원회' 본회의에서 한전공대 입지선정 공동위원회(이하 공동위)는 한전공대 입지로 전남 나주시 부영CC 일원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나주 부영CC는 나주시 빛가람동에 위치해 있으며 한전 본사로부터 2km 가량 떨어져 있다.
2022년 3월 개교를 목표로 하고 있는 한전공대는 학생규모 1000명, 교수진 100명, 대학부지 40만㎡를 포함해 대학 클러스터 부지는 120만㎡로 꾸려질 예정이다.
한전공대는 "에너지 분야에서는 20년 내 국내 최고, 30년 내 5000명 대학 클러스터 규모의 세계 최고 공대를 실현한다"는 청사진을 갖고있다.
그러나 한전공대의 이 같은 구상은 차치하고 당면한 문제인 개교까지의 과정 조차 순탄하지만은 않을 전망이다. 어렵사리 부지가 선정됐지만 현실적인 비용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
28일 중앙일보에 따르면 한전공대의 설립에는 약 5000억 원이 필요하고 이후 학교 운영비로만도 약50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
문제는 한국전력공사가 지난해 1∼3분기 4318억원 순손실을 기록한 만큼 한전공대 설립 비용 전액을 자체 부담하는 일이 어렵게 됐다.
한전공대의 지속적 운영을 위해서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이 필요하지만 정부의 지원 방안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이런 이유로 자유한국당은 한전공대 설립을 지속적으로 반대해왔다.
지난해 9월 18일 윤재옥 한국당 의원은 "앞으로도 (한전의)적자가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어떻게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대학을 설립하고 운영해 나가겠다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학생수가 줄어들고 있어 모든 대학이 지금 구조조정으로 몸살을 앓고 있고 과기대 특성화대는 이미 광주·대전·포항·대구·울산 등 권역별로 5곳이나 운영 중이다"라고 지적한 바 있다.
또 지난 25일 한국당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들은 한전공대 설립 추진을 철회하라며 성명서까지 내놓았다.
한국당 산업위 위원들은 성명서를 통해 "한전공대 부지 후보지 해당 지방자치단체는 열악한 재정 상황에도 부지 제공, 운영비 부담 등 과도한 조건을 제공하면서까지 치열한 유치전을 벌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아직 한전공대 설립을 위한 최종용역보고서도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부지부터 선정하는 것은 시기상조이자 문재인 정권 임기 중에 공약을 달성하기 위한 무리하고 오만한 사업 추진에 불과하다"라고 비난했다. |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  입력 : 2019년 01월 28일 16시 57분
- Copyrights ⓒ옴부즈맨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가장 많이 본 뉴스
아고라
OM인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