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1980년 5월 광주를 취재했던 독일 기자 힌츠페터(가운데 외국인)과 그를 도와준 택시운전사 김사복씨(오른쪽)가 함께 있는 모습(사진 = 연합뉴스 자료) |
ⓒ 옴부즈맨뉴스 |
| [광주, 옴부즈맨뉴스] 이용면 호남취재본부장 = 5·18민주화운동 당시 독일 기자 고 위르겐 힌츠페터를 태우고 광주에 와 취재를 도왔던 택시운전사 김사복씨가 5·18희생자들이 처음으로 묻혔던 5·18구묘역에 안장된다.
광주시는 “5·18당시 독일 기자였던 힌츠페터를 도왔던 택시운전사 김사복씨의 5·18구묘역 안장을 승인했다”고 24일 밝혔다. 고 김사복씨는 영화 <택시운전사>의 실존 인물이다.
그는 1980년 5월 독일 기자였던 힌츠페터를 태우고 광주에 진입했다. 힌츠페터는 김씨의 도움으로 취재한 영상을 독일로 보내 5·18참상을 전 세계에 알릴 수 있었다. 힌츠페터와 김사복씨의 이야기는 2017년 영화로 만들어졌다. 이 영화는 1200만명이 관람하며 5·18에 대한 큰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
 |
|
↑↑ 1980년 5월 광주를 찾은 독일 기자와 그를 도운 한국 택시운전사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 <택시운전사>(사진 =인터넷 캡처) |
ⓒ 옴부즈맨뉴스 |
| 광주시와 5월 단체 등 9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5·18 구묘역 안장 TF팀’은 “김씨가 힌츠 페터를 광주에 진입시켜 1박2일 동안 취조를 돕고 취재한 필림의 일본 반출을 위해 노력해 5·18의 실상을 전 세계에 알리는데 기여했다”고 판단했다.
현재 경기도의 한 성당묘지에 안장된 김씨의 유해는 화장된 뒤 5·18구묘역에 조성된 힌츠페터 기념정원으로 옮겨질 것으로 보인다.
힌츠 페터는 생전에 가족들에게 ‘죽으면 광주에 묻어달라’는 뜻을 수차례 밝혔고 그의 머리카락과 손톱 등 유품이 지난 2016년 5·18 구묘역 힌츠페터 기념정원에 안장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