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5-16 오전 06:03:32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전체 정치·경제·사회 지자체·공공기관 국방·안보 교육 건강·환경·안전 글로벌(외신) 문화·예술 연예·스포츠
뉴스 > 정치·경제·사회

위안부 피해자 곽예남 할머니, 왜 공지영 작가 수사 안 하나...기자회견 열어

"이민주 목사와 친하다고 공격..페이스북에 '성기봉침' 댓글까지.."고소 이유 밝혀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입력 : 2018년 06월 20일 13시 14분
↑↑ 공지영 작가를 검찰에 고소한 곽예남 할머니(사진 = 옴부즈맨뉴스)
ⓒ 옴부즈맨뉴스

[광주, 옴부즈맨뉴스] 진명초 취재본부장 = 광주전남 지역의 유일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 생존자인 곽예남(93) 할머니가 20일 광주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자청해 공지영 작가(55)에 대한 검찰의 빠른 수사를 촉구했다.

곽 할머니는 지난해 11월 초 조카 이관로(62) 씨와 함께 공 작가를 명예훼손 및 허위사실 유포 혐의로 검찰에 고소했다.

하지만 이 사건은 공지영 작가가 서울중앙지방검찰청으로 이관을 요청하여 서울중앙지검에 사건이 와 있지만 아예 조사를 하고 있지 않아 “늑장 수사”에 대하여 수사를 촉구하는 것이라고 이씨는 전했다.

곽 할머니와 조카 이씨가 소설 '도가니'로 장애인학교 성폭력 범죄를 고발했던 공 작가를 처벌해달라고 검찰에 요구한 사연은 이민주 목사와 인연을 맺은 지난해 2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 위안부 할머니로부터 지난해 11월 고소를 당한 공지영 작가(사진 = 인터넷 캡처)
ⓒ 옴부즈맨뉴스

이씨는 지난해 2월 12일 전주 천사미소주간보호센터를 찾아가 이민주 목사를 만났다.

곽 할머니의 한 맺힌 생을 언론으로 접한 이 목사가 새로운 보금자리 건축 지원을 약속하면서 만남이 이뤄졌다.

곽 할머니는 태평양전쟁이 막바지에 접어든 1944년 봄 만 열아홉 살 나이로 일본군 성노예인 위안부로 끌려갔다.

중국에서 60여년을 살다가 우여곡절 끝에 2004년 귀국했고, 2015년 12월 폐암 4기 판정을 받았다.

이씨는 '집에서 죽고 싶다'는 곽 할머니를 요양원에서 전남 담양에 있는 자신의 집으로 모셔왔다.

수도시설을 갖춘 침상이 필요해 이 씨는 비닐하우스로 찬바람을 막은 컨테이너 가건물에 곽 할머니를 모실 수밖에 없었다.

이 목사는 딱한 사정을 알고 곽 할머니가 지낼 새집을 지어주겠다고 약속했고 이를 지켰다.

그로부터 약 1년 뒤 이 목사를 둘러싼 봉침 논란이 불거졌다.

봉침 사건은 남성 정치인을 상대로 한 봉침 시술과 아동학대 의혹을 받는 이 목사를 둘러싼 스캔들로 공 작가는 이 사건의 진실규명과 관련자들의 처벌을 요구했다.


↑↑ 조카와 함께 담양에 거주하는 곽예남 할머니
ⓒ 옴부즈맨뉴스

곽 할머니와 조카 이씨는 이 목사를 향한 공 작가의 비판 화살이 느닷없이 자신들을 향하게 됐다고 주장했다.

공 작가가 페이스북에 '이씨가 고급 수입차를 타고 다닌다', '광주전남 시민에게 위안부 활머니 보금자리 건축을 위해 성금을 받았다'는 허위사실을 퍼뜨렸다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또 혈관 주사를 맞으면서 곽 할머니 몸에 든 멍이 조카의 폭행 때문이라는 누명을 썼다고 토로했다.

곽 할머니와 조카 이씨는 방송사 탐사보도 프로그램에까지 이러한 주장이 잇따르자 일면식도 없는 공 작가를 고소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씨는 곽 할머니와 함께 연 기자회견에서 "단지 이 목사와 친분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우리를 공격하는 것 같다"며 "저는 수입차를 타거나 성금을 받은 적이 없으며 이 목사로부터 도움을 받았을 뿐이다"고 말했다.

이씨는 "특히나 억울하고 분한 것은 공 작가가 제 페이스북의 곽 할머니 관련 게시물에 '성기봉침' 댓글을 단 것"이라며 "어떻게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를 상대로 그런 행동을 할 수 있느냐"고 강조했다.

곽 할머니와 이씨가 공 작가를 상대로 제기한 고소는 하나의 사건으로 병합돼 현재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 계류 중이다.

공지영 작가 고소사건이 이외에도 몇 개 있으나 모두 서울중앙지방검찰청으로 이관되어 병합 수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입력 : 2018년 06월 20일 13시 14분
- Copyrights ⓒ옴부즈맨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포토&동영상
가장 많이 본 뉴스
아고라
OM인물
회사소개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
상호: (주)옴부즈맨뉴스 /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 277번길 51-21 / 발행인: 김형오. 편집인: 김호중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형오
mail: ombudsmannews@gmail.com / Tel: 02)3147-1112, 1588-4340 / Fax : 02) 364-313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1175 / 등록일2015-02-25
Copyright ⓒ 옴부즈맨뉴스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