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5-09 오후 08:07:25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전체 정치·경제·사회 지자체·공공기관 국방·안보 교육 건강·환경·안전 글로벌(외신) 문화·예술 연예·스포츠
뉴스 > 지자체·공공기관

[단독] 국회 ‘갑질’ 넘 지나치고, 누구를 위한 시설들인가?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입력 : 2018년 03월 20일 09시 01분
↑↑ 대한민국 국회
ⓒ 옴부즈맨뉴스
↑↑ 대한민국 국회
ⓒ 옴부즈맨뉴스
[국회, 옴부즈맨뉴스] 김종진 출입기자 = 국회를 방문해 본 국민이라면 과연 대한민국 국회가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지 묻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국회의 갑질이 영내 곳곳에서 횡횡하기 때문이다. 주차장 뿐 아니라 도서관 및 강당사용 등 곳곳에 이어지고 있다.

▲ 일반 국민은 국회에 주차하면 큰 일 난다.

우선 일반 국민은 국회 영내에서 주차를 할 수 없다. 본관 뒤편과 의원회관 지하, 회관 옆에 주차장이 있으나 모두가 의원과 직원만이 사용할 수 있고, 설렁 방문객을 위한 방문자 주차장이 텅텅 비어 있어도 사전에 국회의원 허가를 받아 예약을 해야 들어갈 수 있다. 영내 한 적한 길옆에 잠시 주차를 했다가는 금시 떼어낼 수도 없는 파란딱지가 차량 앞뒤 유리창에 붙어진다.

한 참을 배회하다가 주차관리원에게 통 사정을 하면 본관 뒤편 한강 둔치에 있는 주차장을 이용하라고 안내를 한다. 의원회관에서 500M쯤 떨어져 있을 뿐 아니라 그 곳은 먼지 등 주차장 환경이 열악하다. 뿐만 아니라 장애인이나 노약자들이 그곳에 주차를 하고 의원회관까지 걸어오기에는 너무 힘들다.

국회의원은 그렇다 치더라도 비서들과 직원들은 무슨 특권인가? 이들이 한강 둔치에 주차를 하고 영내 주차공간을 국민에게 돌려주면 안 되는가? 국회의장에게 묻고 싶다. 그렇다면 주차장에서 의원회관까지 미니셔틀버스를 근무시간 내내 상시 운영하면 어떨까? 국회주인이 국민인데 국민은 홀대하고 국민의 머슴인 국회의원과 그 식솔들이 특권을 전유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


▲ 국회도서관 방문 시스템 넘 복잡하다.

어쩌다 자료를 찾기 위해 국회도서관을 찾는다. 출입절차가 너무 까다롭고 복잡하다. 더구나 60대 이상 비 인터넷 연령층에게는 어렵고 힘든 일이다. 이 시스템을 개발하면서 많은 예산이 소요된다. 따라서 이를 개발한 업자를 봐서라도 이를 사용해야 된다는 말인 듯하다.

안내하는 직원에게 다가가 안내를 받으려하니 핸드폰 번호를 묻는다. 본인 소유의 핸드폰이 아니라하니 그러면 입력이 안 된다고 한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하냐고 물었더니 8척 경비원이 나타나 “못들어 간다”고 말한다. 칠십이 넘은 할아버지가 버럭 화를 내며 “대한민국 국민인데 왜 국회도서관을 못 들어가나”라고 언성을 높이자 가로막았던 경비원이 슬슬 자리를 피한다.

이런 풍경이 여기저기서 일어나 안내 직원이 수시로 방문자용 시스템 컴퓨터를 오가는 모습이 보인다.

대한민국 국민임을 입증하는 것이 ‘주민등록번호와 지문’이다. 출입문에 이를 확인하는 무인탐색기만 설치하면 될 일을 왜 이렇게 복잡하게 하는지 모르겠다. 굳이 ‘방문자 표찰’이 필요하다면 그 자리에서 나누어주면 된다. 국민편의위주의 국회시설들이 ‘통제’라는 명분하에 이렇게 권위적으로 시스템을 운영해야 하는지 비판하지 않을 수 없다.

▲ 강당, 정론관 등 사용 시 국회의원 명의만 예약이 가능하다.

권력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확연히 노출되는 곳이 국회다. 국회의 여러 시설 중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국회의원 명의로 예약을 해야 된다. 그러기에 국회의원과 친분이 없는 배경 없는 국민은 사용할 엄두를 못 낸다.

강당이건, 전시회장이건 정론관이건 예약시스템을 개발하여 국민 누구나 이용하면 된다. 의원이나 정당에서 갑작스럽게 정론관을 이용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충분히 사전예약제도를 두면 된다.

국회의 시설이 국민의 것이고, 국회의원의 권력이 국민으로부터 나오는 것이 다 아는 이치이건만 무엇 때문에 이들이 갑질과 주인행세를 해야 하는지 대답해야 한다.

“개구리 올챙이시절 모른다”는 말이 있다. 국회의원이고 비서관이고 직원이라서 올챙이 시절을 망각한 채 국회를 찾는 국민들의 고충을 헤아리지 못한다면 거기에 있을 자격이 없다.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입력 : 2018년 03월 20일 09시 01분
- Copyrights ⓒ옴부즈맨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포토&동영상
가장 많이 본 뉴스
아고라
OM인물
회사소개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
상호: (주)옴부즈맨뉴스 /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 277번길 51-21 / 발행인: 김형오. 편집인: 김호중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형오
mail: ombudsmannews@gmail.com / Tel: 02)3147-1112, 1588-4340 / Fax : 02) 364-313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1175 / 등록일2015-02-25
Copyright ⓒ 옴부즈맨뉴스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