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금융위기 이후 빈곤층 탈출 가능성 고작 6%에 불과... 시민들은 멘붕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 입력 : 2018년 03월 13일 12시 52분
|
 |
|
↑↑ 글로벌금융위기 이후 빈곤층 탈출 가능성 고작 6%에 불과... 시민들은 멘붕 |
ⓒ 인터넷캡쳐 |
| [서울,옴부즈맨뉴스] 김윤중 기자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9년 동안 빈곤층이 빈곤에서 빠져나올 확률은 6%에 불과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와 많은 시민들을 충격에 빠뜨렸다. 이는 중산층 붕괴와 양극화가 그만큼 심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이 소득이 높거나 낮은 단계로 옮겼을 때 확률을 계산했다. 기간은 2007년에서 2015년까지로, 저소득층에서 고소득층까지 모두 10분위로 나눴다.
저소득층인 가구의 경우 한 해가 지났을 때 같은 저소득층에 머물 확률은 40%에서 58%, 반면 고소득층이 여전히 고소득층을 유지할 확률은 45%에서 69%에 달했습니다.
또 저소득층의 경우 한 단계 올라갈 수 있는 확률은 19%대인 반면, 더욱 낮은 소득층으로 내려갈 확률은 19%에서 23%대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소득이 낮은 '빈곤층'인 1에서 3분위 계층의 경우 한 해가 지나도 빈곤을 유지할 확률은 무려 86%였던 반면, 빈곤에서 벗어날 확률은 고작 6.8%인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을 발표한 윤성주 연구위원은 소득 상향이동 확률이 낮아지면서 사회의 활력이 줄어들고 있다며, 이는 중산층 붕괴와 양극화의 원인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빈곤은 일자리가 중요한 결정 요인이라며 정부의 직간접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  입력 : 2018년 03월 13일 12시 52분
- Copyrights ⓒ옴부즈맨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가장 많이 본 뉴스
아고라
OM인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