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5-16 오전 06:03:32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전체 정치·경제·사회 지자체·공공기관 국방·안보 교육 건강·환경·안전 글로벌(외신) 문화·예술 연예·스포츠
뉴스 > 정치·경제·사회

미투운동에도 사각지대가 있다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입력 : 2018년 02월 27일 15시 44분
↑↑ 미투운동에도 사각지대가 있다
ⓒ 인터넷캡쳐

[서울, 옴부즈맨뉴스] 김영업 기자 = 뒤늦게나마 한국에서도 미투운동이 강하게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미투운동도 사각지대가 있었다. 한국 내 외국인들이다.

30대 태국인 여성 A 씨는 지난해 겨울 충북 청주의 한 음식점에서 일을 하면서 각종 성추문을 당했던 경험을 동아일보를 통해 밝혔다. A씨가 근무를 시작한 첫날, 40대 남성 사장은 손님이 모두 나가고 다른 직원 2명도 자리를 비운 늦은 밤 ‘주방 일을 가르쳐 주겠다’며 손과 어깨를 주물럭거리기 시작했다. A 씨는 서툰 한국어로 “싫어요”라고 분명하게 거절한 뒤 식당 옆 컨테이너 숙소로 뛰어 올라갔다.

숙소에 들어가 잠자리에 들고 약 1시간이 지났을 때 문을 두드리는 소리가 들렸다. 식당에서 자신을 성추행 하려던 사장이었다. “슬립 위드 미(나랑 잘래)?”라는 사장의 말에 A씨는 “노(아뇨)!” 라며 다시 거절했다. A씨는 브로커 소개료로 쓴 돈과 받지 못했던 일당이 아까웠으나, 더 이상 이 곳에서 근무할 수 없어 조용히 짐을 싼 뒤 태국인이 운영하는 콜택시를 불러 타고 그 동네를 빠져나왔다.

다른 곳에서도 비슷한 일을 많이 겪었다고 한다. 2년 전 한국에 오자마자 취업한 경기 파주의 한 공장에서도 마찬가지였다. 50대 남자 사장은 걸핏하면 엉덩이를 툭툭 쳤다. 일을 가르쳐 준다며 가까이 다가와 볼에다 얼굴을 비비기도 했다. 모멸감을 느꼈지만 ‘이런 게 한국 문화인가’ 하고 참아 넘겼다.

하지만 사장의 추행은 점점 노골적으로 변했다. 함께 일하던 한국 여성 직원들 사이에서 “하지 마”란 고성이 터져 나오는 걸 보고서야 자신이 성추행을 당했음을 깨달았다.

A씨처럼 이주여성의 경우 성추행을 당해도 이를 호소할 곳이 마땅치 않다. 모처럼 불붙은 미투운동, 사각지대에서도 불이 붙어야 한다.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입력 : 2018년 02월 27일 15시 44분
- Copyrights ⓒ옴부즈맨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포토&동영상
가장 많이 본 뉴스
아고라
OM인물
회사소개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
상호: (주)옴부즈맨뉴스 /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 277번길 51-21 / 발행인: 김형오. 편집인: 김호중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형오
mail: ombudsmannews@gmail.com / Tel: 02)3147-1112, 1588-4340 / Fax : 02) 364-313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1175 / 등록일2015-02-25
Copyright ⓒ 옴부즈맨뉴스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