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고리 3인방, ˝금고 따로 만들어 돈 보관˝.. 술술 진술
"돈다발 든 쇼핑백 봉인해 박 前대통령에게 전달.. 지시 따랐을 뿐 공범 아냐"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 입력 : 2018년 01월 05일 08시 29분
|
 |
|
↑↑ 왼쪽부터 안봉근, 이재만, 정호성 |
ⓒ 옴부즈맨뉴스 |
|
[서울, 옴부즈맨뉴스] 조관형 취재본부장 = 박근혜 전 대통령은 국정원에서 특활비를 현금으로 받아 썼다고 검찰은 말했다. 현금은 사용처를 추적하기 어렵다.
검찰이 특활비 수사를 할 때만 해도 사용처를 밝히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많았다. 박 전 대통령은 검찰 조사도 거부했다.
그런데 검찰은 4일 특활비 수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박 전 대통령이 특활비를 어디에 썼는지를 예상보다 상세히 설명했다. 여기엔 특활비 존재를 알았던 이재만·안봉근·정호성 전 비서관 등 박 전 대통령 최측근들의 진술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문고리 3인방'으로 불리며 박 전 대통령과 정치적 운명을 함께해 왔던 사람들이다.
특히 이재만·안봉근 전 비서관의 진술이 검찰 수사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둘은 이 사건으로 지난해 10월 말 긴급체포됐다.
이 전 비서관은 검찰 조사가 시작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따로 금고를 만들어 상납된 특활비를 보관했고, 박 전 대통령 지시가 있으면 돈을 꺼내 사용했다"고 진술했다고 한다.
"쇼핑백에 돈을 넣은 뒤 테이프로 밀봉해 매달 2000만원에서 1억2000만원까지 박 전 대통령에게 건넸다"는 말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 전 비서관도 "박 전 대통령 지시로 국정원에서 매달 특수활동비를 받았다"고 진술했다고 한다.
이들은 박 전 대통령이 자신들에게 특수활동비로 휴가비·명절 떡값 명목으로 1000만~2000만원가량을 줬고, 매달 300만~800만원의 활동비를 줬다는 진술도 했다.
국정 농단 사건으로 이미 구속돼 재판을 받는 정호성 전 비서관은 나중에 두 비서관의 말이 맞는다고 인정했다고 한다.
이재만·안봉근 전 비서관은 재판에선 "우리는 박 전 대통령과 공범이 아니고 지시를 따른 것일 뿐이다"며 책임을 박 전 대통령에게 미루고 있다.
박 전 대통령 측 관계자는 "두 사람은 지난해 초 박 전 대통령 탄핵 심판에선 박 전 대통령 측의 요청에도 증인으로 나오지도 않았다"며 "박 전 대통령에게 등을 돌린 것도 모자라 자기만 살겠다고 칼까지 꽂았다"고 했다.
박 전 대통령 손발 역할을 한 이영선·윤전추 전 행정관도 특활비 사용처를 상세히 진술했다.
이 전 행정관은 최순실씨가 운영하는 대통령 의상실 운영비, 박 전 대통령의 삼성동 옛 자택 관리 비용, 차명폰 유지 비용, 기 치료·운동 치료·주사 비용 등에 특활비를 썼다고 시인했다.
윤 전 행정관은 2016년 9월 최씨가 국정 농단 사태로 독일로 도피해 대통령 의상실 직원들의 월급 등을 줄 사람이 없어지자 박 전 대통령에게 직접 현금을 받아 의상실 비용을 정산했다고 검찰에 진술했다. |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  입력 : 2018년 01월 05일 08시 29분
- Copyrights ⓒ옴부즈맨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가장 많이 본 뉴스
아고라
OM인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