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5-09 오후 08:07:25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전체 정치·경제·사회 지자체·공공기관 국방·안보 교육 건강·환경·안전 글로벌(외신) 문화·예술 연예·스포츠
뉴스 > 지자체·공공기관

부천시, ‘유네스코 문학창의도시’로 지정

- 11월 18일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가입 기념식 개최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입력 : 2017년 11월 01일 13시 51분
↑↑ 부천시가 동아시아 최초로 유네스코 문학창의도시로 지정됐다.(사진=부천시 제공)
ⓒ 옴부즈맨뉴스

[부천, 옴부즈맨뉴스] 임현승 취재본부장 = 부천시가 동아시아 최초로 유네스코 문학창의도시로 지정됐다.

유네스코 본부는 10월 31일(유럽중부표준시) 홈페이지를 통해 2017년 창의도시 네트워크 가입도시를 발표했다. 부천시는 세계에서 21번째로 유네스코 문학창의도시 네트워크 멤버로 이름을 올려 에든버러, 더블린, 프라하와 같은 세계 유수의 문학도시와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됐다.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는 도시들 간 협력을 통해 경제·사회·문화적 발전을 장려하는 국제네트워크 사업이다. 유네스코는 2004년부터 세계 각국 도시를 심사해 문학, 디자인, 영화, 미디어아트, 음식, 공예, 음악 등 7개 분야의 창의도시로 지정하고 있다.

부천시는 문학 분야의 역사적 유산과 활동, 풍부한 문화콘텐츠와 도서관인프라 등을 인정받아 문학창의도시로 승인됐다.

시는 지난해 유네스코 한국위원회의 국내승인을 통과해 올해 6월 유네스코 본부에 가입 신청서를 제출했다. 신청서에는 변영로·목일신·양귀자·펄벅·정지용 등 부천에서 활동한 문학가들의 기념사업과 문학단체 활동, 시민중심의 풍부한 문화 활동을 담았다.

또 만화·웹툰 등 콘텐츠 산업, 국제판타스틱영화제,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아트밸리 사업, 도서관 인프라 등 부천시의 문화자산을 바탕으로 부천시의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가입이 한국의 문화장르 전반에 높은 파급효과가 있음을 강조했다. 특히 산업중심지에서 문화도시로 발전해온 부천시의 도시발달사가 개발도상국 여러 도시에 참고 모델이 될 수 있음을 피력했다.

이번 심사로 부천시를 포함해 44개국 64개 도시의 가입이 승인됐다. 이로써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에는 총 72개국 180개 도시가 가입돼 있으며, 국내에서는 부천시를 포함해 이천(2010년·공예), 서울(2010년·디자인), 전주(2012년·음식), 부산(2014년·영화), 광주(2014년·미디어아트), 통영(2015년·음악), 대구(2017년·음악) 등 8개 도시가 유네스코 창의도시로 지정돼 있다.

김만수 부천시장은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문학도시) 가입을 계기로 부천시의 문화적 자산을 더욱 확대해 국제적 문화도시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라며, “내년에는 문학도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과 국제네트워킹의 기반을 조성하고, 장기적으로는 동아시아 지역 최초의 문학도시로서 동아시아 내 창의도시 거점화 사업을 통해 아시아를 대표하는 문화도시로 위상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부천시는 오는 11월 18일 오전 10시에 부천시청 어울마당에서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가입을 축하하는 기념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입력 : 2017년 11월 01일 13시 51분
- Copyrights ⓒ옴부즈맨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포토&동영상
가장 많이 본 뉴스
아고라
OM인물
회사소개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
상호: (주)옴부즈맨뉴스 /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 277번길 51-21 / 발행인: 김형오. 편집인: 김호중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형오
mail: ombudsmannews@gmail.com / Tel: 02)3147-1112, 1588-4340 / Fax : 02) 364-313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1175 / 등록일2015-02-25
Copyright ⓒ 옴부즈맨뉴스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