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행은 `낙하산 천국`…朴정부 정치인·관료 출신 포진˝
국감 "전형적인 나눠먹기식 인사…개선해야 할 과제"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 입력 : 2017년 10월 22일 09시 32분
|
 |
|
↑↑ IBK기업은행 본점 |
ⓒ 옴부즈맨뉴스 |
| [국회, 옴부즈맨뉴스] 김종진 출입기자 = 박근혜 정부 당시 IBK기업은행과 금융 계열사에 전직 정치인, 관료가 임원으로 다수 포진해 '낙하산 천국'을 방불케 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정부·여당 출신의 퇴직 후 보은 인사를 위해 금융위원회 산하 공공기관인 IBK기업은행을 적극적으로 악용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22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해영 의원이 IBK기업은행 등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박근혜 정부 당시인 2013∼2017년 IBK기업은행과 6개 금융 계열사에는 41명에 달하는 낙하산 인사가 임원으로 재직했다.
낙하산으로 분류할 만한 인사는 IBK기업은행과 IBK캐피탈에 각 8명, IBK투자증권과 IBK자산운용에 각 4명, IBK연금보험과 IBK신용정보에 각 6명, IBK저축은행에 5명이 임원으로 근무했다.
이 중 IBK기업은행에서는 금융감독원장을 지낸 이 모씨, 청와대 중소기업비서관을 지낸 한모 씨, 한나라당 대표 특보를 지낸 조 모씨 등이 사외이사를 맡았다. 18대 대선 당시 박근혜 후보 캠프에서 뛴 이 모씨가 감사를 맡기도 했다.
또 IBK캐피탈에는 18대 대통령직 인수위 출신 양 모씨가 감사로, IBK투자증권에는 여의도연구소 부소장 출신 정 모씨와 한나라당 부대변인 출신 서 모씨가 사외이사로 각각 재직했다.
새누리당 부대변인을 지낸 심 모씨는 IBK연금보험과 IBK자산운용에서 연달아 사외이사로 임명돼 연간 수천만 원의 급여를 받았다. 새누리당 당직자 출신 류모씨는 IBK신용정보 부사장을 했다.
일부는 아직도 임기가 끝나지 않은 현직이다.
이들은 대부분 사외이사와 감사를 맡았는데, 회사의 준법 경영을 감시하고 견제해야 할 자리를 이처럼 낙하산 인사로 메운 것은 제도 취지에 반하고 국민 정서에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김 의원은 지적했다.
|
 |
|
↑↑ 더불어민주당 김해영 의원 |
ⓒ 옴부즈맨뉴스 |
| 김 의원은 "IBK기업은행과 계열사에 전형적인 나눠먹기식 보은인사가 집중된 것으로 보인다"며 "불투명한 국책은행 임원 인사는 개선해야 할 과제 중 하나"라고 말했다.
|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  입력 : 2017년 10월 22일 09시 32분
- Copyrights ⓒ옴부즈맨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가장 많이 본 뉴스
아고라
OM인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