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27일 오전 전남 완도군 고금면 가교리의 한 도로에서 25t 트럭과 추돌한 16t 탱크로리 차량이 거센 화염을 내품으며 폭발하고 있다.(사진=해남소방서제공) |
ⓒ 옴부즈맨뉴스 |
| [완도, 옴부즈맨뉴스] 명노민 취재본부장 = “불길이 강해 폭발할 것 같다. 200m 밖으로 대피하라.”
전남 완도에서 LPG(액화석유가스)를 5t을 실은 탱크로리와 25t 덤프트럭이 추돌해 대형 폭발이 일어났지만, 현장에 출동한 베테랑 소방관이 폭발 징후를 사전에 포착하고 대피를 명령해 40여명이 무사히 목숨을 구했다.
사고는 27일 오전 11시 20분쯤 전남 완도군 고금면 가교리 고인돌공원 인근 도로에서 일어났다. 불붙은 탱크로리 차량 주변에서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던 소방차 10대에 다급한 무전지시가 내려졌다.
무전지시가 내려지자 소방차를 비롯해 경찰 순찰차 등 차량 16대가 일제히 남북방향으로 물러났다. 소방차 등 차량대피가 모두 끝나고 3분 뒤 ‘펑’하는 폭발음과 함께 거대한 불기둥이 치솟았다. 폭발 직후 탱크로리 차체 파편은 로케트처럼 사방으로 200m가까이 날아갔다.
긴박한 대피가 이뤄지지 않았다면 진화작업과 사건경위 등을 파악하던 소방관, 경찰관, 면사무소 직원을 비롯해 이를 지켜보던 시민 등 40여 명이 위험에 빠질 수 있었던 아찔한 상황이었다. 무전지시의 주인공은 김평종 해남소방서 고금 119안전센터장(53·소방경). 그는 화재진압을 20여 분간 지휘하다 갑자기 탱크로리 불길이 20m 높이로 5배 가까이 치솟고 로케트 발사음 같은 소리가 들리자 폭발을 직감했다.
폭발 직후 탱크로리 차량은 뼈대만 남고 차량 부품들은 수류탄 터지듯 튕겨 나가 곳곳에 흩어졌다. 언덕에 걸쳐 있던 탱크로리의 차체는 폭발의 충격으로 치솟아 올라 도로 위로 다시 떨어졌다.
|
 |
|
↑↑ 27일 오전 전남 완도군 고금면 가교리의 한 도로에서 25t 트럭과 추돌한 16t 탱크로리 차량이 폭발해 소방당국이 진화하고 있다.(사진=해남소방서제공) |
ⓒ 옴부즈맨뉴스 |
| 폭발 후 김 센터장은 소방관들과 함께 5분 만에 불을 껐다. 만일 현장에서 그대로 불을 끄고 있었다면 시민 의용소방대를 포함해 40여명의 목숨이 위태로울 수도 있었다. 김 센터장은 여수소방서 화학구조대 등을 거친 22년 경력의 베테랑 소방관으로, 여수에서 근무할 때 탱크로리 사고 특성을 경험한 덕분에 폭발 징후를 포착해냈다. 김 센터장은 MBN과의 인터뷰에서 “폭발 징후를 보고 큰일 나겠구나 싶어서 대원들하고 소방차를 200m 밖으로 대피 유도를 시켰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