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5-14 오후 12:26:01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전체 정치·경제·사회 지자체·공공기관 국방·안보 교육 건강·환경·안전 글로벌(외신) 문화·예술 연예·스포츠
뉴스 > 정치·경제·사회

물에 잠긴 휴스턴...이틀 새 760㎜ 폭우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입력 : 2017년 08월 29일 03시 10분
↑↑ 초강력 허리케인 '하비'가 텍사스주를 강타한 가운데 사람들이 물이 흘러넘치는 휴스턴 텔리폰로드를 지나가고 있다.
ⓒ 옴부즈맨뉴스
[외신, 옴부즈맨뉴스] 정길영 취재본부장 = 초강력 허리케인 ‘하비’가 강타한 미국 4대 도시 휴스턴이 거대한 ‘물의 도시’로 변했다. 

최대 풍속 시속 210㎞의 초강력 허리케인 ‘하비(Harvey)’가 강타한 미국 4대 도시 휴스턴이 거대한 ‘물의 도시’로 변했다. 사망자만 최소 5명으로 집계됐고, 이재민도 45만명에 이른다고 미 연방재난관리청이 28일(현지시간) 밝혔다. 하비가 열대성 폭풍으로 등급이 낮아졌지만 앞으로 며칠간 비를 뿌릴 것으로 보여 피해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특히 멕시코만 일대 정유시설이 멈추면서 국제 휘발유 가격도 들썩이고 있다.

AP통신 등 현지 언론은 27일 하비가 사흘째 텍사스주에 비를 뿌리면서 일부 지역은 이날 오후 7시 기준으로 48시간 동안 강수량이 760㎜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미국 국립기상청과 국립허리케인센터는 다음 달 1일까지 텍사스 연안과 루이지애나주 남서부에 380∼630㎜의 폭우가 더 내릴 것으로 예보했다. 역시 기록적인 폭우로 홍수 피해를 당한 루이지애나주에도 28일 비상사태가 선포됐다.
↑↑ 초강력 허리케인 '하비'가 텍사스주를 강타한 가운데 물에 잠긴 도로
ⓒ 옴부즈맨뉴스
미국의 네 번째 대도시이자 인구 630만명의 휴스턴은 강까지 범람하면서 도시 전체가 물에 잠겼다. 두 곳의 공항은 폐쇄됐고 주요 도로 역시 차량 통행 자체가 불가능한 상태다. 또 전신주 붕괴와 전력선 단절 등으로 전력 공급이 중단돼 텍사스 전역에서 수십만 가구가 불편을 겪고 있다.

하비는 4등급 허리케인으로 2005년 1200명의 사망자를 낸 3등급 허리케인 카트리나보다 강력하다. 미국 본토에 4등급 허리케인이 강타한 것은 13년 만이다. 특히 텍사스주는 1961년 허리케인 칼라가 상륙한 이후 56년 만에 4등급 허리케인을 맞아 재난적 상황에 빠졌다.

카트리나의 악몽을 기억하는 정부 당국은 전방위적 구조활동에 나섰다. 그레그 애벗 텍사스 주지사는 구조작업을 위해 3000여명의 군병력을 투입했으며 28일 1000명을 추가 투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뉴욕시가 27일 오전 뉴욕소방국(FDNY)·뉴욕경찰국(NYPD) 소속 특급대원 120명을 일컫는 일명 ‘뉴욕 태스크포스 원’을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에 급파하는 등 미국 전역에서 구조대가 텍사스주로 파견됐다. 그리고 자원봉사자들이 응급구조대를 조직해 주민 구조에 나서고 있다.

한편 멕시코만 연안에 집중된 정유시설이 타격을 입으면서 휘발유 가격도 급등하고 있다. 멕시코만은 미국 전체 원유 생산의 4분의 1을 차지하고, 정제 능력은 하루 700만 배럴에 달한다. CNN은 “멕시코만의 정제시설 30여곳 가운데 10개가 폐쇄됐다”고 전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원유 9월 선물 가격은 장 초반 갤런당 6.8%나 올라 2015년 7월 이후 장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입력 : 2017년 08월 29일 03시 10분
- Copyrights ⓒ옴부즈맨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포토&동영상
가장 많이 본 뉴스
아고라
OM인물
회사소개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
상호: (주)옴부즈맨뉴스 /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 277번길 51-21 / 발행인: 김형오. 편집인: 김호중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형오
mail: ombudsmannews@gmail.com / Tel: 02)3147-1112, 1588-4340 / Fax : 02) 364-313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1175 / 등록일2015-02-25
Copyright ⓒ 옴부즈맨뉴스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