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5-14 오후 12:26:01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전체 정치·경제·사회 지자체·공공기관 국방·안보 교육 건강·환경·안전 글로벌(외신) 문화·예술 연예·스포츠
뉴스 > 정치·경제·사회

이철성 경찰청장, SNS에 `민주화의 성지` 썼다고.. 광주청장에 격노 후 좌천인사

광주경찰, 촛불집회 당시에 교통통제 양해 구하며 표현
이 청장, 직접 전화 걸어 “성지 근무하니 좋으냐” 질책
해당 글 하루 만에 삭제되고 광주청장 10여일 뒤 좌천 인사
이 청장 “직접 전화 안했다” 부인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입력 : 2017년 08월 07일 07시 54분
↑↑ 이철성 경찰청장이 지난 6월 16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열린 경찰개혁위원회 발족식에서 백남기 농민 사망과 관련해 사과하고 있다.이철성 청장은 권력의 해바라기인가?
ⓒ 옴부즈맨뉴스

[서울, 옴부즈맨뉴스] 이정행 수도권취재본부장 = 이철성 경찰청장이 국정농단 촛불시위 과정에서 호남을 ‘민주화의 성지’로 표현한 글을 트집잡아 광주청장을 호되게 질책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큰 파장이 일고 있다.

그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광주 촛불집회 참가자들의 질서의식을 높이 평가한 광주경찰청의 글을 보고 당시 강인철 광주청장에게 전화를 걸어 “민주화의 성지에서 근무하니 좋으냐”는 등 비아냥 섞인 막말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6일 경찰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이 청장은 광주경찰청이 지난해 11월 18일 SNS 공식계정에 올린 ‘광주 시민의 안전, 광주 경찰이 지켜드립니다’는 제목의 글이 인터넷에서 화제가 되자 참모회의에서 진노한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경찰청장이 쓴 sns 글
ⓒ 옴부즈맨뉴스

해당 글은 다음날 도심에서 촛불집회가 열린다는 사실을 알리고 교통 통제에 대한 양해를 당부하는 내용이었다. ‘성숙한 시민의식을 보여주는 민주화의 성지, 광주 시민들에게 감사하다’는 문구와 ‘국정농단 헌정파괴 박근혜는 하야하라’는 플래카드 아래로 경찰이 도로를 통제하는 모습이 함께 실렸다. 차별화된 문구에다, 시민안전을 위해 애쓰는 경찰의 모습이 담겨 네티즌의 관심이 쏟아졌다.

이를 보고받은 이 청장은 다음날 오후 4시쯤 강 광주청장에게 휴대폰으로 직접 전화를 걸어 “민주화의 성지에서 근무하니 좋으냐”, “당신 말이야. 그 따위로 해놓고” 등의 막말을 쏟아내며 언성을 높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청장의 호된 질책을 받은 광주청은 하루 만에 해당 글을 없애고 촛불집회 예고와 교통 통제 안내 글로 대체했다. 강 전 청장이 “본청에서 글을 내리라고 한다”며 과ㆍ계장 10여명을 불러 대책을 논의한 뒤였다.

사라진 첫 글과는 달리 후속 글에는 ‘민주화의 성지’, ‘경찰이 지켜드립니다' 등의 문구와 플래카드 사진 등이 없어졌다. 그 배경에 의문이 일자, 광주청은 ‘집회 상황을 알리기 위해 상황을 업데이트했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한 경찰간부는 “홍보를 담당하는 하위 직원이 순수하게 올린 글인데도, 본청 수뇌부가 과민하게 반응해 당혹스러웠다”고 전했다.

강 전 청장은 논란 발생 10여일 뒤인 같은 달 28일 단행된 인사에서 지휘관에서 물러나 치안감 승진자가 주로 받는 경기남부경찰청 1차장으로 사실상 좌천됐다.

올 1월 ‘인사청탁’ 업무 수첩 논란으로 감찰조사를 받았던 박건찬 전 경찰청 경비국장이 경기남부청 1차장으로 이동하면서 경찰중앙학교장으로 자리를 옮긴 강 전 청장은 최근 교비 편법 운용 의혹으로 감찰 조사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사실이 알려지자 경찰 내부에선 “국정농단 세력의 눈치를 보며 조직을 이끈 이 청장에게 치안총수 자리를 계속 맡겨두는 이유를 모르겠다”는 등 뒷말이 무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청장은 이에 대해 “직접 전화한 사실이 없다”고 말했다. 경찰청 관계자도 “광주청이 SNS 글을 올린 경위를 확인해보라는 지시가 없었다”고 했다.

강 전 청장은 “이 청장과의 통화내용을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이야기할 수 없다”고 말을 아꼈다.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입력 : 2017년 08월 07일 07시 54분
- Copyrights ⓒ옴부즈맨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포토&동영상
가장 많이 본 뉴스
아고라
OM인물
회사소개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
상호: (주)옴부즈맨뉴스 /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 277번길 51-21 / 발행인: 김형오. 편집인: 김호중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형오
mail: ombudsmannews@gmail.com / Tel: 02)3147-1112, 1588-4340 / Fax : 02) 364-313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1175 / 등록일2015-02-25
Copyright ⓒ 옴부즈맨뉴스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