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5-14 오후 12:26:01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전체 정치·경제·사회 지자체·공공기관 국방·안보 교육 건강·환경·안전 글로벌(외신) 문화·예술 연예·스포츠
뉴스 > 정치·경제·사회

폐업 개인사업자 수 84만 명…5년 만에 최다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입력 : 2017년 07월 04일 02시 08분
ⓒ 옴부즈맨뉴스

[서울, 옴부즈맨뉴스] 정길영 취재본부장 = 지난해 민간소비 위축과 자영업자 증가로 경쟁이 격화되면서 한 해 동안 문을 닫은 개인사업자 수가 약 84만명으로 5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2일 국세청 ‘2017 국세통계 조기공개’ 자료를 보면 지난해 창업자는 122만6443명으로 2002년(123만9370명) 이후 역대 두 번째로 많았다. 전년(119만1009명)보다는 3.0% 증가했다.

반면 폐업사업자(개인+법인)는 90만9202명으로 전년(79만50명)보다 15.1% 급증했다.
하루 평균 3360개 사업장이 문을 열었지만 2491개 사업장이 문을 닫은 꼴이다. 지난해 폐업사업자 수는 2004년(96만4931명) 이후 12년 만에 가장 많았다.

특히 자영업자들이 고전했다. 지난해 폐업을 신고한 개인사업자 수는 83만9602명으로 전년(73만9420명)보다 13.5%인 10만182명이 증가했다. 개인 폐업자 수는 2011년(84만5235명) 이후 5년 만에 최고다. 문을 닫은 법인들도 많았다. 6만9600개의 법인이 지난해 문을 닫았다. 전년(5만630명)과 비교하면 37.5% 급증했다. 2004년 이후 문을 닫은 법인 수가 가장 많다.

자영업자 5명 중 1명은 지난해 매출이 적어 세금을 내지 않았다. 사업 규모가 영세한 간이과세자 중 지난해 매출 과세표준이 2400만원에 미치지 못해 부가가치세 납부 의무가 면제된 사업자는 120만8448명으로 3년 만에 증가세로 반전됐다. 지난해 전체 일반사업자와 간이과세자의 수(532만9252명)를 감안하면 납부의무 면제자의 비율은 22.7%에 달한다.

경기가 나빠 일해서 돈벌기는 어려워졌지만 부의 대물림은 더 심해졌다. 지난해 상속재산가액 총액은 14조6636억원으로 전년(13조1885억원)에 비해 1조4751억원(11.2%) 증가했다. 증여재산가액도 18조2082억원으로 전년(15조2836억원)보다 2조9246억원(19.1%) 증가했다. 상속재산과 증여재산 규모는 각각 역대 최대다.

지난해 국세청이 걷은 세수는 233조3291억원으로 전년보다 12.1% 증가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소득세가 전년보다 12.3% 늘어난 70조1193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소득세는 처음으로 70조원을 돌파했다. 소득세 증가는 근로소득세 증가의 영향이 컸다.

지난해 근로소득세는 31조9740억원으로 전년보다 13.7% 증가했다. 부동산 거래가 활발해지며 양도소득세도 15.4% 늘어난 13조6833억원이 걷혔다.

소득세에 이어 부가세(61억8282억원), 법인세(52조1154억원), 교통·에너지·환경세(15조3030억원) 등의 순이었다. 법인세의 경우 전년보다 15.7% 늘었는데 법인 실적이 예상보다 좋았기 때문이다.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입력 : 2017년 07월 04일 02시 08분
- Copyrights ⓒ옴부즈맨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포토&동영상
가장 많이 본 뉴스
아고라
OM인물
회사소개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
상호: (주)옴부즈맨뉴스 /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 277번길 51-21 / 발행인: 김형오. 편집인: 김호중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형오
mail: ombudsmannews@gmail.com / Tel: 02)3147-1112, 1588-4340 / Fax : 02) 364-313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1175 / 등록일2015-02-25
Copyright ⓒ 옴부즈맨뉴스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