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昌 만난 홍준표(왼쪽) 자유한국당 대선 후보가 7일 오전 서울 중구 남대문로 단암빌딩에 위치한 이회창 전 한나라당 대표의 사무실을 방문해 악수를 나누고 있다. |
ⓒ 옴부즈맨뉴스 |
|
[서울, 옴부즈맨뉴스] 김상기 취재본부장 =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선 후보가 도지사직에 묶여 선거법 위반을 의식한 변칙 선거운동을 벌이고 있다. 홍 후보는 공직선거법상 선거 운동이 금지돼 있어 표를 달라거나 도와달라는 등의 말을 한마디도 못 하는 상황이다. 지사직 유지에 급급해 발목을 잡힌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홍 후보는 7일 이회창 전 국무총리와 만난 뒤 경기 안양시에서 열리는 경기·인천 선거대책위원회 발대식에 참석한다. 하지만 공개 발언은 하지 못한 채 지난 발언들을 편집한 동영상으로 대체할 예정이다.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현직 경남지사인 홍 후보는 선거 운동이 금지돼 있다.
그럼에도 홍 후보는 지난 4일까지 선대위 발대식 등에 참석해 지지를 요청하는 등의 발언을 했고, 이에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 5일 홍 후보 측에 ‘선거법 준수 촉구’ 공문을 보냈다.
선관위는 지난 4일 홍 후보가 한국당 대구·경북 선대위 발대식에 참석해 “홍준표 정부를 만드는 게 박근혜 전 대통령을 살리는 길”이라고 발언한 것을 선거법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선관위 공문을 전달받은 뒤 홍 후보는 공식 발언을 일절 자제했다. 홍 후보는 지난 5일 울산 선대위 발대식에서 “울산이 제 인생의 마지막 고향이다. 더 이상 이야기하면 선거법 위반이니 10일 이후로 울산에 유세하러 한번 내려오겠다. 그때 자세히 말씀드리겠다”고만 하고 자리를 내려갔고, 이후 호남·제주 선대위 발대식에선 한마디도 못 했다. 충청권 선대위 발대식에서도 일절 발언 없이 후보수락연설 동영상으로 갈음했다.
홍 후보가 대선 예비후보 등록도 안 한 채 끝까지 경남지사직을 유지하는 것은 경남지사 보궐 선거를 막기 위해서다. ‘혈세 낭비’라는 이유에서다. 이를 위해 홍 후보는 9일 자정쯤 사퇴하고 이를 선관위에 10일이나 11일 통지해 보궐선거를 막을 계획이다.
바른정당은 논평을 통해 “선대위 발대식에서 연설도 못 하는 무자격 후보”라며 “대선 후보에서 사퇴하고 경남지사직에 전념할 의향은 없는지 묻고 싶다”고 비난했다.
한편 이날 한국당은 박정이 예비역 육군 대장을 공동상임중앙선대위원장 겸 국가안보위원장으로 영입했다. 박 예비역 대장은 수방사령관, 1군사령관 등을 역임했으며 천안함 폭침 사태 당시 민군 합동조사단의 군 측 단장으로 활동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