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현금인출기기(CD)나 현금자동입출금기(ATM) 같은 자동화기기 개수도 줄었다. |
ⓒ 옴부즈맨뉴스 |
|
[서울, 옴부즈맨뉴스] 임용식 경제금융기자 =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은행 업무를 보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시중은행들이 은행 지점과 직원, 자동화 기기를 줄여 나가고 있다. 28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은행 총 임직원 수는 11만4775명으로 전년동기대비 2248명 감소했다. 이는 2372명이 줄어든 2010년 이후 6년 만에 최대 규모다. 외환은행과 합병한 하나은행이 작년 한 해 1144명 줄였고 국민은행과 우리은행도 각각 405명, 301명 축소했다. 농협은행과 광주은행도 각각 151명, 143명 구조조정했다. 지난해 말 전국 은행 지점과 출장소 등 영업점수는 7103곳으로 전년 말 대비 175곳 줄었다. 현금인출기기(CD)나 현금자동입출금기(ATM) 같은 자동화기기 개수도 줄었다. 지난해 말 4만8474개로 한 해 동안 2641개 감소했다. 2003년 이래로 연간 기준으로 가장 큰 규모의 감소다. 이 처럼 시중은행들이 영업점과 자동화기기를 줄이는 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모바일과 인터넷 뱅킹 이용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12월 중 전체 조회서비스에서 모바일을 포함한 인터넷뱅킹 비율은 80.6%를 기록했다. 한은이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5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반면 창구거래와 자동화기기 등 오프라인 거래는 15.5%에 불과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올해 시중은행장이 일제히 디지털 전략을 경영 화두로 꺼냈다”며 “점차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처리할 수 있는 금융업무 범위가 넓어지면서 오프라인 채널의 비중은 갈수록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