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사회적 평판, 직업 지속성, 급여, 수행직무 등을 고려했을 때 가장 만족도가 높은 직업 순위 |
ⓒ 옴부즈맨뉴스 |
| [서울, 옴부즈맨뉴스] 박충렬 취재본부장 = 사회적 평판, 직업 지속성, 급여, 수행직무 등을 고려했을 때 가장 만족도가 높은 직업으로 '판사'가 선정됐다. 항구, 해협 등 연해에서 선박의 입·출항로를 안내하는 '도선사'도 만족도가 높은 직업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용정보원은 27일 지난해 6월부터 10월까지 우리나라 621개 직업종사자 1만9127명을 대상으로 벌인 '직업만족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발전 가능성 △급여만족도 △직업 지속성 △근무조건 △사회적 평판 △수행직무만족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현재 몸담은 직업에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지를 해당 직업 종사자들이 주관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직업 만족도가 가장 높은 직종은 판사였다. 판사는 사회적 평판(2위), 직업 지속성(8위), 급여만족도(4위), 수행직무만족도(4위) 등에서 골고루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선장 경력이 있어야 면허를 받을 수 있고, 임금이 높은 직업인 도선사가 전체 2위를 차지했다.
이외에 대학교 총장, 초등학교 교장, 교수, 연료전지개발연구자, 물리학연구원, 지질학 연구원, 초등학교 교사 등 '교육 및 연구 관련직'이 상위에 이름을 올렸다.
공학기술 관련직 중에서는 전기감리기술자, 원자력공학 기술자, 발전설비기술자 등 3개 직업이 올랐다. 변리사 등 법률 관련 전문 직업과 항공기조종사 등 운송관련 직업도 직업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항목을 들여다보면, 발전 가능성 영역에서 물리학·지리학·연료전지 연구자, 초등학교 교장, 교수 등 '교육 및 연구 관련직'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나이가 들어도 계속 일할 수 있는가를 묻는 직업 지속성 영역에서는 시인, 목사, 채소작물재배원, 가구조립 및 검사원 등이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업무환경이 쾌적하고 시간적 여유가 있는 직종은 성우, 화가, 학예사, 작사가 등 문화예술 분야 직업이었다. 자신의 직업을 자녀에게 권유하고 싶다고 답한 종사자 비율이 높은 직업은 초등학교 교장(교감), 판사, 장학사 등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