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5-13 오후 01:01:56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전체 정치·경제·사회 지자체·공공기관 국방·안보 교육 건강·환경·안전 글로벌(외신) 문화·예술 연예·스포츠
뉴스 > 정치·경제·사회

배우자 잃은 슬픔 다른 나라에 비해 더 심해

美 미시간대 연구팀 분석... 우울감 상승 최고 美의 2.6배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입력 : 2017년 03월 27일 00시 00분

[외신, 옴부즈맨뉴스] 이정우 취재본부장 = 배우자를 먼저 보내면서 겪는 슬픔은 한국인이 다른 나라에 비해 더 심하게 겪는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27일 미국노인학회의 노인학저널(The Journals of Gerontology) 3월호에 따르면 미국 미시간대 인구연구센터 아푸르바 자다브 교수팀은 2002∼2013년 사이 한국과 미국, 영국, 유럽, 중국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분석 대상은 이들 국가 55세 이상 고령자 2만6835명(미국 6637명, 영국 2740명, 유럽 5811명, 중국 7834명, 한국 3813명)이다.

연구팀은 배우자를 사별한 사람을 찾아 부부생활을 함께할 때와 사별 후의 우울 점수를 비교한 결과 한국의 경우 배우자 사별 전 우울 점수가 3.49점에서 사별 후 5.07점으로 1.58점 올라 조사대상 국가 중 가장 많이 상승했다. 이어 유럽 0.85점(2.75점→3.60점), 미국 0.61점(1.25점→1.86점), 영국 0.54점(1.57점→2.11점) 등의 상승 폭을 보였다.

한국인의 우울감 상승 폭은 다른 나라와 비교할 경우 미국의 2.6배, 영국의 2.9배, 유럽의 1.9배에 달했다. 반면, 중국의 경우 배우자 사별 전 우울 점수가 4.24점에서 사별 후 3.75점으로 오히려 0.49점이 낮아져 대조를 보였다.

배우자 사별에 따른 우울감은 모든 나라에서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오래 지속했다. 배우자를 잃은 첫해에는 남녀 모두 우울감이 가장 높았지만, 여성은 최장 10년의 관찰 기간에 서서히 결혼한 상태와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됐다. 남성은 유럽을 제외한 모든 나라에서 사별 후 6∼10년이 지나도 높은 수준의 우울감이 유지됐다.

특히 한국인의 경우 여성은 사별한 지 1년이 지나기 전 신체적·정서적 우울함이 최고 수준으로 높아졌다가 점차 안정세를 되찾아갔지만, 남성은 2년 후에 우울감이 최고치를 보였고 그 이후에도 이 같은 감정이 가라앉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입력 : 2017년 03월 27일 00시 00분
- Copyrights ⓒ옴부즈맨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포토&동영상
가장 많이 본 뉴스
아고라
OM인물
회사소개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
상호: (주)옴부즈맨뉴스 /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 277번길 51-21 / 발행인: 김형오. 편집인: 김호중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형오
mail: ombudsmannews@gmail.com / Tel: 02)3147-1112, 1588-4340 / Fax : 02) 364-313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1175 / 등록일2015-02-25
Copyright ⓒ 옴부즈맨뉴스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