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5-13 오후 01:01:56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전체 정치·경제·사회 지자체·공공기관 국방·안보 교육 건강·환경·안전 글로벌(외신) 문화·예술 연예·스포츠
뉴스 > 정치·경제·사회

1073일 만의 인양… 통곡의 ‘세월’을 담은 세월호 이제 보려나..

세월호 본 인양 시작, 23일 오전 11시 모습 드러낼 듯
5시간여 지나 1m 시험인양
본 인양 개시 후 밤샘 작업 계속
성공 땐 23일 오전 11시 13m 부상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입력 : 2017년 03월 23일 07시 54분
↑↑ 22일 오후 전남 진도군 세월호 시험 인양 구역에서 미수습자 가족이 진행과정을 지켜보고 있다.
ⓒ 옴부즈맨뉴스

[진도, 옴부즈맨뉴스] 장민구.위등량 취재본부장 = 23일 오전 11시 9명의 미수습자인 조은화, 허다윤, 남현철, 박영인, 양승진, 고창석, 권재근, 권혁규, 이영숙을 품은 세월호가 드디어 바다 밖으로 모습을 드러낼 전망이다.

고장 난 시계처럼 2014년 4월 16일에 멈춰 섰던 미수습자 가족들의 시간도 다시 흐르기 시작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조류 지역 중 한 곳인 맹골수도의 차가운 바닷속에 세월호가 갇힌 지 1,073일 만이다.

↑↑ 22일 오후 전남 진도군 세월호 인양 구역에서 야간 시험인양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 옴부즈맨뉴스

정부는 22일 밤 8시50분 전남 진도군 조도면 맹골수역에서 세월호 선체를 본격적으로 끌어내는 본 인양에 돌입했다. 

이에 앞서 정부는 이날 오전 10시 무게 2만5,000톤과 3만8,000톤 규모의 잭킹바지선 2척을 이용해 수심 44m 아래에 가라 앉은 세월호(8,000톤)를 수면으로 끌어 올리는 시험인양(선체를 해저에서 살짝 들어 인양줄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오후 3시30분엔 선체를 해저면에서 1m 인양하는 데에 성공했다. 시험인양에서 나타난 인양 가능성과 현지의 기상상황 등을 종합 검토한 정부는 이날 밤 본인양을 전격 결정한 뒤 곧 바로 작업을 벌였다.

기상 예보에 따르면 소조기(조석간만의 차가 적어 유속이 느려지는 기간)인 22~24일 사고 해역에선 ▦파고 1m ▦풍속 초속 10.8m 이하의 양호한 기상이 이어질 예정이다. 본인양의 최종 성공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정부는 23일 새벽까지 밤샘 작업을 계속했다. 세월호 선체는 23일 오전 수면 위로 처음 모습을 드러내고, 오전 11시엔 목표 지점인 수면 위 13m까지 인양될 것으로 보인다.

↑↑ 22일 오전 세월호 침몰 해역인 전남 진도군 동거차도 앞바다에서 중국 인양업체 상하이셀비지 소속 잭킹바지선 두 척이 세월호 인양 작업을 준비하고 있다
ⓒ 옴부즈맨뉴스

김영석 해양수산부 장관은 22일 진도군청에서 “24일까지 본인양 작업을 마무리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세월호가 물 밖으로 올라오게 되면 ▦반잠수선 선적(6일) ▦목포 신항 이동(1일) ▦선체 육상 이동 및 거치(4일) 등의 작업이 이어지게 된다.

이날 세월호 본인양이 이뤄진 것은 2014년4월16일 사고가 난 지 2년 11개월 만이고, 2015년 4월 정부가 세월호를 인양하기로 결정한 지 1년 11개월 만이다.

지난 3년간 선체 인양을 누구보다 손꼽아 기다려 온 미수습자 가족들도 어업지도선 무궁화 2호와 23호에 승선한 채 인양 작업을 지켜봤다.

가족들은 ‘국민에게 드리는 호소문’을 통해 “세월호 인양은 미수습자의 수습과 진실을 밝히는 증거물이자 생존자가 아픔 없이 살아갈 수 있는 길”이라며 “부모의 마음으로 세월호를 인양해 달라”고 호소했다.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입력 : 2017년 03월 23일 07시 54분
- Copyrights ⓒ옴부즈맨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포토&동영상
가장 많이 본 뉴스
아고라
OM인물
회사소개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
상호: (주)옴부즈맨뉴스 /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 277번길 51-21 / 발행인: 김형오. 편집인: 김호중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형오
mail: ombudsmannews@gmail.com / Tel: 02)3147-1112, 1588-4340 / Fax : 02) 364-313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1175 / 등록일2015-02-25
Copyright ⓒ 옴부즈맨뉴스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