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제3지대의 주자로 아웃사이더의 박찬종 변호사와 장기표 선생이 거론되고 있다. |
ⓒ 옴부즈맨뉴스 |
| [전국, 옴부즈맨뉴스] 조관형.김종필 취재본부장 = 여야 사이에서 새로운 대선 구도를 모색 중인 ‘제3지대’가 뚜렷한 국민으로부터 지지자가 부각되지 않고 있어 설 연휴 이후로도 당분간 안갯속을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합종연횡’을 염두에 둔 만남과 말은 무성해도 복잡한 각자의 셈법을 재빠르게 정리할 리더십이 존재하지 않는 탓이다.
제3지대 ‘빅텐트’ 깃발을 든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고전이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새누리당 일부와 바른정당 등 범여권에는 여전히 그에게 기대를 품고 모여드는 ‘구심력’이 남아있지만, 그가 외연을 넓혀야 하는 제3지대에서는 오히려 ‘원심력’이 점차 커지는 모양새다.
제3지대의 또 다른 핵심축인 국민의당과 김종인, 손학규 등 핵심 플레이어들도 제각각 만남을 이어가고 있지만 아직은 ‘동상이몽’ 수준이다.
|
 |
|
↑↑ 빅텐트 주자들의 구상 |
ⓒ 옴부즈맨뉴스 |
| ▲ ‘빅텐트’ 깃발 든 반기문의 진퇴양난 반 전 총장은 25일 열리는 관훈토론회에서 좀 더 진전된 빅텐트 구상을 밝힐 전망이지만, 손에 잡힐 만한 결과를 내놓긴 어려워 보인다. 그동안 야권 핵심 인사들을 잇 따라 접촉했지만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진 못했다. 24일 정의화 전 국회의장과 오찬을 하며 “큰 틀에서 반 총장을 돕는 것을 생각하고 있다”는 답변을 받은 게 전부다.
남은 길도 첩첩산중이다.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는 야권 인사들의 마음을 돌리려면 우선 친이명박계 등 여권 인사들로 둘러싸인 자신의 인적 편향을 해소해야 한다. 새누리당 충청권의 지지를 지역색 없이 흡수하고, 막 창당한 바른정당이 빅텐트에 참여할 수 있는 명분도 만들어야 한다. 최근 새누리당과 바른정당 내부에서 자체 후보를 확실히 세우자는 ‘자강론’이 커지는 것도 부담스러운 부분이다.
인명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은 24일 <불교방송> 라디오에 나와 “옛날에 국회의원 떼어가는 아주 그릇된 정치행태가 있었는데 반 전 총장이 이런 접근으로 정치를 시작한 것에 대해 참 유감스럽고 실망스럽기 짝이 없다. 이런 식으로 정치를 하면 안 된다”고 비판했다.
바른정당도 ‘꽃가마’를 태워 영입할 분위기는 아니다. 반 전 총장이 만드는 판에 끌려가지 말고 당내 유승민·남경필 후보를 키워 후일을 도모해야 한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
이에 대해 반 전 총장의 한 참모는 “대선은 어차피 문재인-반기문 양강 구도로 가게 돼 있다”며 “당장 성과가 안 나더라도, 개헌과 연정을 고리로 한 제3지대 논의는 막판까지 변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국민의당 “당내 빅텐트” 반기문과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는 여권과 거리를 둔 채 ‘국민의당’ 중심의 빅텐트를 설파하고 있다. 일단 야권 지지자들부터 확실히 다져놓겠다는 계산이다. 그는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와 정운찬 전 국무총리가 국민의당에 들어와 안철수 전 대표와 “강한 경선”을 치러야 한다고 주장한다. 문병호 최고위원도 “전당대회에서 안 전 대표를 지지하는 세력이 30% 정도라는 게 확인됐다. 손 전 대표가 오면 당내 경선에서 승산이 없는 게 아니다”라며 당내 경선 흥행이 우선임을 강조했다.
하지만 국민의당 내부적으로는 반 전 총장에 대한 ‘밀당’의 끈을 완전히 놓지 않았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호남 의원들 사이에서는 반 전 총장 영입에 긍정적인 이들이 많다. 유성엽 의원은 “일부러 ‘모셔올’ 것은 아니지만 문을 닫아놓을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 김종인·손학규는 관망중 제3지대를 묶어낼 책사로 꼽히는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대위 대표는 좀 더 지켜보자는 쪽이다. 지난 21일 반 전 총장을 만난 바 있는 김 전 대표는 “반 전 총장 쪽의 희망 사항으로 생각하면 되는 거지. 나는 별로 얘기할 게 없다”고 말했다. 그와 가까운 민주당의 한 의원도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반 전 총장의 귀국 이후 행보를 볼 때 지금으로선 비전이 없어 보이는 게 사실”이라고 혹평했다.
반면 손학규 전 대표는 국민의당과 반 전 총장 양쪽 모두에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그는 이날 <문화방송> 라디오에서 “국민의당은 새로운 정치를 만들어갈 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입당 형식은 아니라 대등한 차원의 연대를 모색할 대상으로 보는 것이다. 반 전 총장에 대해서도 “우리나라에 중요한 외교적 자산”이라며 “좀 더 인내력을 갖고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 제3지대는 박찬종.장기표 등 아웃사이더의 몫 현 정당 및 정치인 이외에 박찬종, 장기표, 김원웅, 정운찬 등 아웃사이더의 지도자가 본인의 의사와는 관계 없이 대표 주자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만약에 국민적 인기가 비등하고 있는 박찬종 전 대표나 재야의 장기표씨가 출사표를 던져 10%대의 지지율을 확보할 경우 바른정당과 국민의당, 김종인의 비문세력들이 새로운 정치 결사체를 만들 가능성이 크다고 보는 것이다.
앞서 거명되는 정치인들은 아직 국민들의 낙점까지는 많은 한계가 있고, 이 들의 지지도가 미미하기 때문에 박찬종 변호사와 장기표 대표가 해성처럼 등장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