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5-09 오후 08:07:25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전체 정치·경제·사회 지자체·공공기관 국방·안보 교육 건강·환경·안전 글로벌(외신) 문화·예술 연예·스포츠
뉴스 > 정치·경제·사회

송영길 등 민주의원, 4일 訪中…사드 배치 따른 보복조치 중단 요청

'차기 정부서 사드 재검토' 의견 전달시 외교 파장 가능성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입력 : 2017년 01월 02일 12시 40분
↑↑ 송영길 의원
ⓒ 옴부즈맨뉴스

[국회, 옴부즈맨뉴스] 김종필.박충렬 국회출입기자 = 송영길(인천 계양을) 의원을 비롯한 더불어민주당 의원 8명이 다음 주 중국을 방문해 중국의 정부 관계자 및 한반도 전문가들을 만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문제 등에 대해 논의한다.

특히 이들은 사드의 한반도 배치 결정과 관련한 당 소속 대선주자들의 '메시지'를 중국 측에 전달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민주당 소속 의원들은 오는 4일부터 6일까지 2박3일 일정으로 방중,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을 비롯해 공산당 대외연락부, 상무부 관계자들을 면담하고 중국의 안보·경제전문가들과 간담회를 할 예정이다.

현재 박근혜 대통령을 대신해 국정을 맡고 있는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안보를 위해 할 수 있는 대로 신속하게 사드를 배치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는 반면, 민주당 소속 대선주자들은 사드배치를 재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송 의원은 1일 "중국은 공식적으론 '사드 보복'이 아니라고 말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한류공연도 중단되고 있고, 인천을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중국을 상대로 사업하는 분들이 많은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면서 "한류 제재나 경제적 교류협력이 경색되는 것을 완화해 보고자 한다. 또 남북관계를 푸는 데도 중국의 역할이 중요한 만큼, 관련 논의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방중단은 사드 배치문제와 관련해 당의 입장은 "차기정부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점을 중국측에 전달할 예정이라고 송 의원 측이 밝혔다.

이를 위해 송 의원은 민주당의 대선주자들이 사드를 비롯한 한중관계 이슈에 대해 어떤 의견을 갖고 있는지를 취합한 것으로 전해졌다.

송 의원은 보도자료에서 "사드 문제가 양국 국민들 사이의 경제와 사회문화 분야의 교류와 갈등으로 번지는 것은 한중 관계의 장기적 안목에서 볼 때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한국의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 북핵 문제 해결을 최우선 공동협력의 과제로 설정해야 한다는 점도 밝힐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한국에서 새로운 정부가 들어설 때까지 한한령(限韓令)을 중단해야 한다"면서 "중국 여행객의 한국 방문 제한, 한국 상품에 대한 통관 업무 지연, 한국 문화예술연예인 활동의 제한, 부정기 항공편 중단과 같은 조치는 한국인들이 가시적으로 느낄 수 있는 수준의 복원을 요청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송 의원은 당내에서 '중국통'으로 꼽힌다. 지난 2014년 6·4 지방선거에서 인천시장 재선에서 패배한 뒤 중국과 대만으로 유학길에 올라 중국 칭화대와 대만 정치대학에서 1년간 연구교수 생활을 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또 세월호 인양 업체인 중국 상하이샐비지 본사를 방문해 인양작업 경과 등을 확인하고 조속한 인양을 요청한다는 계획이다.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입력 : 2017년 01월 02일 12시 40분
- Copyrights ⓒ옴부즈맨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포토&동영상
가장 많이 본 뉴스
아고라
OM인물
회사소개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
상호: (주)옴부즈맨뉴스 /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 277번길 51-21 / 발행인: 김형오. 편집인: 김호중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형오
mail: ombudsmannews@gmail.com / Tel: 02)3147-1112, 1588-4340 / Fax : 02) 364-313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1175 / 등록일2015-02-25
Copyright ⓒ 옴부즈맨뉴스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