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국무총리실 정무협력비서관으로 내정된 김진욱씨 |
ⓒ 옴부즈맨뉴스 |
|
[서울, 옴부즈맨뉴스] 김홍식 취재본부장 = 이재명 대통령의 성남시장 시절부터 최근 거리에서 수행을 해 왔던 ‘분신’ 김진욱씨가 국무총리실 고위비서관을 고사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국무총리비서실 정무협력비서관(고위공무원 나급)으로 임용 예정이었던 김진욱 전 더불어민주당 당대표비서실 국장(51)이 임용 발표 당일인 7일 돌연 사의를 표했다.
총리실은 7일 밤 공지를 통해 “8일 임용이 예정됐던 김진욱 비서관은 일신상의 이유로 임용 의사를 자진 철회해 임용이 이뤄지지 않았음을 알려드린다”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자진 철회 사유에 대해선 밝히지 않았다.
김 전 국장에 대한 인사는 이재명 대통령의 재가까지 마쳐 8일부터 근무를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임용 전 철회로 임용이 이뤄지지 않게 됐다. 총리실 관계자는 “8일 0시부로 발령이 날 예정이었는데 자진 철회로 임용 자체가 없던 일로 무효 처리가 된 것”이라고 밝혔다.
김 전 국장은 이 대통령이 성남시장이었던 2014년부터 이 대통령의 수행비서로 활동했다.
2018년 이 대통령이 경기도지사에 당선된 뒤에는 경기도청 의전비서관으로 발탁됐다. 2022년 20대 대선 과정에서는 이 대통령의 수행비서를 했고 당시 대선 패배 이후 이 대통령이 민주당대표가 되자 당대표비서실 국장급 당직자로 채용됐다. 21대 대선 과정에서는 민주당 대선 후보 직속 기본사회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했다.
김 전 국장이 임용을 철회한 데에는 김 전 국장의 과거 이력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국장은 2007년 9월 성남 지역 폭력조직인 종합시장파와 국제마피아파 등과 관련된 무허가 경비업체 ‘특별경호단’의 폭행 사건에 연루돼 징역 6개월, 집행유예 1년을 선고받은 바 있다.
김 전 국장은 2015년 성남시 행정지원과 주무관 신분으로 이 대통령의 호주·뉴질랜드 출장에 동행하기도 했다. 당시 이 대통령이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본부장, 고 김문기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벌1처장 등 일행과 찍은 출장 사진에 김 전 국장도 함께 있다.
성남 시의원 출신인 이기인 개혁신당 사무총장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김진욱 씨는 성남지역 폭력조직과 함께 오피스텔 보안용역 사업권을 빼앗기 위해 빠루(쇠지렛대)로 철문을 뜯고 경비원을 폭행한 사건에 가담한 일로 구속됐다가 집행유예로 풀려난 전력이 있다”며 “다시는 이런 인사가 대통령의 ‘친소 관계’라는 이유만으로 고위공직에 오르는 전례를 결코 반복해서 안 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 씨의) 임용은 취소되었지만 어디까지나 총리의 결단이 아닌 자진철회라는 점은 유감”이라며 “이런 유사한 형태의 대통령 주변 인사들이 수없이 존재한다”고 비판했다.
한편, 정가 일부에서는 “김진욱씨가 전과자로 과거 성남시 조직폭력배 출신”이라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