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주민 6명 동해 NLL넘어 송환 완료˝..`유엔사 핑크폰` 통지 좌표에 北경비정 대기해
24시간 대북직통전화 '유엔사 핑크폰'에 새 정부 들어 북한 첫 반응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 입력 : 2025년 07월 09일 16시 09분
|
 |
|
↑↑ 9일 오전 북한 주민 6명이 목선을 타고서 자력으로 NLL을 넘어가고 있다.(사진 = 통일부 제공) |
ⓒ 옴부즈맨뉴스 |
| [서울, 옴부즈맨뉴스] 이호성 취재본부장 = 정부가 동해와 서해에서 표류하다가 구조된 북한 주민 6명을 동해상 경로를 통해 9일 북송했다.
유엔사 통지를 받은 북한은 경비정과 견인선을 송환 좌표에 대기시켜 북송된 북한 주민들이 탄 어선을 맞이 했다.
북한 주민 6명은 타고온 한 배를 타고서 자력으로 동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북한 경비정이 인계 지점에 나와 있었으며, 북한 선박이 자력으로 귀환했다"면서 "오전 8시56분에 북한 목선이 NLL을 넘어갔고 9시24분에 북측 어선하고 북한 주민들이 탄 목선이 만난 뒤 북측으로 이동해 안전하게 송환이 마무리됐다"고 말했다. 해군과 해경은 이날 NLL 인근까지 북송 주민들의 자력 이동을 지원했다.
정부는 판문점 육로 송환 등 여러 방식을 검토했으나, 북한 어민들이 타고온 목선을 수리해 동해 NLL 인근까지 배로 태워 송환하는 방식을 최종 결정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서해 구조 선박은 기관 고장으로 운항이 불가능했으며, 동해 구조 선박은 점검 결과 운항이 가능해 북한 주민들 전원의 동의 아래 서해 북한 주민 2명을 포함해 6명을 동해 구조 선박으로 함께 송환했다"고 전했다.
북송된 북한 주민들은 대부분 남성으로 어부들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3월 서해에서 2명, 지난 5월 동해에서 4명이 표류하다가 구조됐다. 이들은 모두 북한으로 돌아가기를 희망해왔다. 송환 과정에서 정부는 유엔사 채널을 북한 측에 송환 계획을 반복적으로 통보했다.
현재 남북 간의 공식 대화채널(판문점 채널, 군 통신선 등)은 지난 2023년 4월부터 모두 단절된 상태다. 이에 따라 정부는 유엔군사령부(UNC)의 대북 직통전화인 '핑크폰'으로 소통해왔다. 핑크폰은 유엔군사령부와 북한군을 연결하는 24시간 운영되는 직통전화로, 남북 간 직접 대화채널이 막혔을 때 대체 통신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번 조치는 북한 주민들의 귀환 희망에 따른 우리 정부의 인도주의적 결정에 따른 것이다.
단절된 남북관계 복원과 남북 연락망 재개를 위한 목적도 포함됐다. 과거에도 비슷한 방식의 해상 송환 사례가 있었으나, 북한과 사전 협의 없이 송환하는 것은 드문 것으로 전해졌다. |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  입력 : 2025년 07월 09일 16시 09분
- Copyrights ⓒ옴부즈맨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가장 많이 본 뉴스
아고라
OM인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