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한강 이촌 청보리밭 |
ⓒ 옴부즈맨뉴스 |
|
[서울, 옴부즈맨뉴스] 김몽수 기자 = 이번 주말, 푸른 한강과 그 바람에 일렁이는 청보리밭이 주는 청
량함으로 때 이른 봄 더위를 시원하게 날려보는 것은 어떨까?
서울시(한강사업본부)는 “5.21(토)~22(일)까지 이촌한강공원 청보리밭 일대에서 ‘2016 한강 청보리 축제’ 를 개최한다.”라고 밝혔다.
올해 첫 회를 맞이하는 ‘한강 청보리 축제’는 한강공원 내 대규모 유휴 공간에 전원풍경단지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써 이촌한강공원에 1만㎡ 규모에 달하는 청보리밭을 배경으로 진행된다. 이촌 한강공원 청보리밭은 거북선나루터 앞 구간의 강변자전거길, 산책로변으로 연장 1,300m, 10,000㎡으로 조성되었다. 특히 청보리 축제로 유명한 전북 고창군과의 협력을 통해 조성하여 더욱 의미가 있고, 이번 축제에는 특산물 장터와 특별 공연으로 참여한다. 고창군으로부터 종자(240kg)를 무상지원 받아 파종, 재배 등 보리재배 전 과정을 고창군과 합동작업으로 추진하였다.(2015년은 뚝섬, 여의도 한강공원에 5,000㎡ 파종) 또한 양화한강공원과 뚝섬, 잠원한강공원에 각각 6,000㎡, 3,100㎡, 6,000㎡의 밀밭이 조성되었으며, 수확되는 밀과 보리는 밀가루, 보리쌀 등으로 가공하여 서울시 광역 푸드뱅크에 기부할 계획이다.
한강변을 따라 조성된 청보리밭 내에 ‘가만히 귀 기울이면’ 이라는 테마로 <포토존>을 운영한다. 영화 ‘봄날은 간다’를 연상시키는 ▴ 녹음 장비, 실제 연주 가능한 ▴ 피아노,▴ 풍경(風磬)길로 구성되어 있다. 그 외에도 ▴‘봄의 시’ 팻말, ▴‘날개벤치’도 운영한다.
축제에 작은 재미를 더해줄 <체험 프로그램>은 매일 13시부터 18시까지 운영된다. 축제의 마스코트 청보리 ▴ 종이인형 만들기, ▴ 페이스페인팅은 무료이며, ▴ 바람개비 피리 만들기, 청보리 빛깔 ▴ 매듭공예, ▴ 핀버튼 만들기는 유료로 참여 가능하다.
<소규모 공연>은 13시부터 18시까지 매시 정각부터 30분간 진행되며 ▴ 피아노 연주와 ▴ 석고마임이 번갈아 진행된다.
<특별 프로그램>으로는 고창군과 협력으로 매일 10시부터 20시까지 ▴ 특산물 장터가 열리고 5월21일(토) 14시부터 15시까지 1시간동안 ▴ 오카리나 연주 ▴ 고창군 전통무용팀 등 특별공연이 펼쳐진다.
또한 5.22(일) 15시부터 18시까지 이촌한강공원 청보리밭 일대에서 <2016 한강 멍때리기 대회>를 개최한다. 멍때리기 대회는 ‘현대인의 뇌를 탁 트인 한강에서 쉬게하자’는 콘셉트의 이색퍼포먼스 행사로 무료함과 졸음을 이겨내고 아무것도 하지 않음을 유지하면 된다. 참가자들은 심박측정기를 지니고 가장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면 우승자가 된다. 대회 우승자에겐 트로피와 상장을 수여한다.
그 이외에도 5월 21일(토)부터 22일(일) 10:00~20:00까지 서래섬 인근 농구장에서 <한강문화장터>가 열린다. 문화장터에는 강원도, 평창군 등 한강유역 지자체가 참여해 친환경 농산물을 판매할 예정이다. ‘한강공원 문화장터’에서는 지자체에서 품질을 보증하는 믿을 수 있는 친환경 농산물 및 메밀식품을 비롯해, 간단한 음식 등을 판매하여 시민들에게 먹는 즐거움도 선사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 한강사업본부 홈페이지(hangang.seoul.co.kr)를 방문하거나 또는 다산콜센터 (02-120)로 문의하면 된다. 이촌한강공원 지하철 1․4호선 이촌역을 이용하여 한강공원 방면의 이촌나들목을 지나오면 된다.
황보연 한강사업본부 본부장은 “바쁜 일상에 지친 시민 여러분들이 탁 트인 한강을 방문해 시원한 ‘청보리 축제’를 즐기시면 좋겠다.”라며, “시민들이 도심 속에서 고향의 정취를 느끼고 여유를 즐길 수 있도록 한강공원 전원 풍경단지 조성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