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5-07 오후 06:57:48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전체 정치·경제·사회 지자체·공공기관 국방·안보 교육 건강·환경·안전 글로벌(외신) 문화·예술 연예·스포츠
뉴스 > 정치·경제·사회

˝생사고비 넘겼는데, 931원뿐˝ 일제강제동원 할머니 법정증언

장기공전 2차 손배 소송, 3년만에 변론 종결…내년 1월 1심 선고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입력 : 2023년 11월 09일 20시 02분
↑↑ 일제강제동원피해자 정신영 할머니가 9일 오후 광주법원에서 증인 심문을 마치고 소감을 밝히고 있다.
ⓒ 옴부즈맨뉴스

[광주, 옴부즈맨뉴스] 박형도 취재본부장 = "죽을 고비를 넘기며 버텼는데, 돌아온 건 931원(99엔)뿐이었습니다."

일본 전범기업을 상대로 2차 손해 배상에 나선 일제강제동원 피해자 정신영(93) 할머니가 9일 법정에서 강제동원 당시를 증언했다.

이날 원고 당사자 증인으로 나선 정 할머니는 또렷한 음성으로 1944년 일본에 건너가 겪었던 고충을 하나하나 증언했다.

정 할머니는 공부를 더 할 수 있다는 일본 교사의 거짓 회유로 15살 어린 나이에 친구들 25명과 일본으로 갔다.

일본에 도착해 나고야성을 구경하고 사진 찍는 즐거움도 잠깐 있었지만, 이후로 해방 후 귀국하기까지 생사를 넘나드는 고생이 계속됐다.

정 할머니는 미쓰비시중공업의 나고야 항공기 제작소에서 도색 작업을 하는 알루미늄판을 배열하거나, 식당 일과 청소를 했다.

배식이 제대로 되지 않아 쓰레기통을 뒤져 배를 채우기 일쑤였고, 월급은 간식 하나 사 먹으면 바닥날 정도로 몇푼 되지 않았다.

목숨을 위협하는 일도 다반사로 발생해 미군 폭격기가 공장에 폭탄을 떨구면 개집보다 못한 방공호에 숨어들어 떨었으며, 폭탄에 불이 난 건물에 사다리를 놓고 올라 불을 끄기도 했다.

지진으로 땅이 갈라지고 물이 차는 생사의 갈림길 속에 동료 7명이 죽는 장면도 옆에서 목격했다.

집에 가고 싶어도 못 가는 상황이 이어지다 정 할머니는 해방 이후에야 부산항을 통해 고향인 전남 나주로 돌아올 수 있었다.

↑↑ 일본 후생연금이 입금한 99엔(자료 = 연합뉴스)
ⓒ 옴부즈맨뉴스

일본 후생연금(노동자 연금보험)이 그에게 입금한 탈퇴 수당은 달랑 931원(99엔).

정 할머니는 강제동원으로 평생 겪은 아픔을 이날 증인석에 앉아 하나하나 털어놨다.

광주지법 민사13부(임태혁 부장판사)는 이날 정 할머니의 증인 심문을 마지막으로 원고 4명이 일본 미쓰비시중공업을 상대로 낸 2억4천만원 상당 손해배상 소송의 변론을 종결했다.

정 할머니 등 원고 4명의 손해배상 소송 재판은 일본 미쓰비시중공업 측의 회피로 장기간 공전했다.

양금덕 할머니 등이 대법원 확정판결에서 승소한 1차 소송 이후 정 할머니는 2020년 1월 2차 소송에 나섰지만, 소송 서류를 일본기업이 확인하지 않으면서 첫 재판이 2년 6개월 만에 열리는 등 지연됐다.

어렵게 이어진 재판은 첫 소송 제기 3년 10개월여 만인 이날 변론 종결돼 내년 1월 18일 1심 선고가 내려진다.

1심 선고가 나오더라도 항소와 상고 등이 이어져 재판 결과가 확정되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증인 심문을 마친 정 할머니는 "세월이 지나 기억이 가물가물하지만, 또 말을 하다 보면 당시 기억이 고스란히 되살아난다"며 "수십 년이 지났지만, 미쓰비시는 물론 일본으로부터 단 한마디 사죄의 말을 듣지 못해 원통하다"고 말했다.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광주·전남지부는 1차 소송 이후 2019년과 2020년 피해자 87명을 원고로 전범 기업 11곳에 대해 2차 집단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 3년여만에 끝난 재판, 일제강제동원피해자 정신영 할머니가 9일 오후 광주법원에서 증인 심문을 마치고 법정 밖으로 나오고 있다.
ⓒ 옴부즈맨뉴스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입력 : 2023년 11월 09일 20시 02분
- Copyrights ⓒ옴부즈맨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포토&동영상
가장 많이 본 뉴스
아고라
OM인물
회사소개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
상호: (주)옴부즈맨뉴스 /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 277번길 51-21 / 발행인: 김형오. 편집인: 김호중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형오
mail: ombudsmannews@gmail.com / Tel: 02)3147-1112, 1588-4340 / Fax : 02) 364-313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1175 / 등록일2015-02-25
Copyright ⓒ 옴부즈맨뉴스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