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 반려동물대축제에 참여한 견공 |
ⓒ 옴부즈맨뉴스 |
|
[서울, 옴부즈맨뉴스] 강병훈 기자 = 전국에 등록된 반려동물이 100만 마리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난 한해 8만 마리가 넘는 반려동물이 거리로 내몰렸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10일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조사한 동물 보호 및 복지관리 실태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 결과, 지난해 말 기준 등록된 반려동물 수는 총 97만9198마리로 집계됐다. 지난해에만 9만1232마리가 새로 등록했다. 현재 반려동물 등록은 개를 대상으로 이뤄지고 있다.
잃어버린 반려 동물을 쉽게 찾고 유기·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반려동물 등록제는 지난 2008년 처음 실시된 후 2014년부터는 의무화됐다.
지역별로는 경기도에 등록된 반려동물이 28만4000여마리로 가장 많았고, 이어 서울이 21만3000여마리였다.
이처럼 반려동물의 등록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지만, 아직까지 등록률은 절반에 못미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등이 추정한 등록대상 반려동물은 177만8747마리다.
|
 |
|
↑↑ 입양을 기다리는 유기견들 |
ⓒ 옴부즈맨뉴스 |
|
6일 오전 서울 광진구 능동 어린이대공원역 앞 광진광장에서 열린 제6회 유기동물과의 만남의 날 행사를 찾은 사람들이 애견들을 바라보고 있다.
지난해 버려진 유기동물 수(처리 기준)는 8만2082마리였다. 개 5만9633마리(72.7%), 고양이 2만1299마리(25.9%), 기타 1150마리(1.4%)다.
집계된 유기동물 수는 지방자치단체에 인계돼 처리된 것으로 실제 버려지는 동물 수는 이보다 훨씬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전체 유기동물 수는 지난 2010년 10만900여 마리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매년 감소 추세다.
지역별로 경기도가 1만9728마리(24%)였고, 이어 서울 8902마리(10.8%), 부산 7051마리(8.6%) 순으로 대도시에서 유기동물이 많이 발생했다.
유기동물 처리현황은 개인분양(2만6233마리, 32%), 자연사(1만8633마리, 22.7%), 안락사(1만6421마리, 20%), 원 소유주 반환(1만212마리, 14.6%) 순이었다.
유기·유실 동물 처리 비용은 지난해 128억8000만원을 사용, 전년 대비 23.5%가 증가했다. 이는 길고양이 TNR(포획-중성화수술-방사)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이 증가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올해 처음 조사된 길고양이 TNR 처리 현황을 보면 2만6300마리를 대상으로 사업이 진행돼 31억3900만원이 사용됐다. 고양이 1마리당 120,000원을 지출하였다.
실험동물로 사용된 동물은 지난해 총 250만7000마리로 전년 대비 약 9만5000마리가 늘어났다. 기관당 평균 7786마리로 전년과 비교해 250마리 증가했다.
동물판매업 신규등록은 729개소로 모두 3288개의 판매업소가 전국에서 영업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장묘업은 경기도 7개소, 충남 3개소 등 전국에 16개소가 운영중이다.
동물복지 인증농장은 모두 76개소로 산란계, 돼지, 육계 등 모두 97만 마리가 동물복지 혜택을 받고 있다. 동물복지 인증농장은 2012년 산란계농장을 시작으로 2013년 돼지농장, 2014년 육계농장으로 확대됐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반려동물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해 규제를 합리화하고 동물미용업, 동물카페업, 동물호텔업 등 신규업종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