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5-01 오후 06:33:10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전체 정치·경제·사회 지자체·공공기관 국방·안보 교육 건강·환경·안전 글로벌(외신) 문화·예술 연예·스포츠
뉴스 > 연예·스포츠

양궁 금메달 싹쓸이 뒤에 현대차 두 회장님은 ‘양궁 덕질’

현대차그룹 37년째 양궁 전폭적 후원
정몽구-정의선 대를 이은 ‘양궁 사랑’
금메달 딴 선수도 정 회장부터 찾아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입력 : 2021년 07월 26일 21시 17분
↑↑ 25일 일본 유메노시마공원 양궁장에서 열린 도쿄올림픽 여자 양궁 단체 결승전을 찾은 정의선(가운데) 현대차그룹 회장이 선수들을 응원하고 있다.(사진 = 합동취재반)
ⓒ 옴부즈맨뉴스

[서울, 옴부즈맨뉴스] 허정일 취재본부장 = 우리나라 남녀 양궁 대표팀이 도쿄올림픽 양궁 단체전에서 나란히 금메달을 따낸 가운데 현대자동차그룹의 양궁 사랑이 주목받고 있다.

정의선 회장의 물심양면 지원과 현대차가 보유한 신기술 덕분에 양궁 최강국이 될 수 있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현재 여자 대표팀은 올림픽 9연패, 남자 대표팀은 2연패의 대기록을 썼다.

26일 재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37년간 양궁 인재 발굴과 첨단 장비 개발 등에 약 500억원을 투자했다. 2005년 대한양궁협회장에 오른 정 회장은 양궁 저변 확대와 외교력 강화에 나서며 한국 양궁의 위상을 유지하는 데 힘을 썼다.

2016년 국내 최대 규모의 ‘현대차 정몽구배 한국양궁대회’를 출범했고, 아시아양궁연맹 회장에도 올랐다.

특히 정 회장은 현대차그룹이 보유한 첨단 기술을 양궁에 접목하는 데 집중했다. 신차 개발 시 부품 내부 균열을 점검하는 기술을 활에 적용한 ‘활 비파괴 검사’, 자동차 디자인 센터의 3차원(3D) 스캔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그립’, 힘·방향·속도 등 동일한 조건에서 최적의 화살을 고르는 ‘화살분류장비’, 선수의 긴장감을 줄이는 ‘뇌파 측정기술’ 등이 호평을 받았다.

양궁 대표팀이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을 앞두고 프로야구 기아와 넥센의 경기가 열린 목동야구장에서 팬들의 함성과 폭우 속에서 적응 훈련을 한 것도 정 회장의 작품이었다.

정 회장은 양궁 선수들과 격의 없이 지내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딴 선수들은 가장 먼저 정 회장에게 달려갔고, 2016년 리우올림픽에서 양궁 전종목을 석권한 선수단은 정 회장을 헹가래를 치고 금메달을 정 회장 목에 걸어주며 승리의 기쁨을 나눴다.

↑↑ 한국 양궁의 대가로 자리잡은 현대자동차 그룹 정의선 회장(사진 = OM뉴스)
ⓒ 옴부즈맨뉴스

현대가(家)와 양궁의 인연은 37년 전인 1984년 LA올림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서향순 선수가 개인전 금메달을 따는 모습을 본 정몽구 명예회장은 양궁 육성을 결심하고 1985년 대한양궁협회장에 올랐다. 이후 현대정공(현 현대모비스) 여자양궁단, 현대제철 남자 양궁단을 창단했다.

국내 체육단체 가운데 최초로 스포츠 과학화도 추진했다. 정 명예회장은 심장박동수 측정기, 시력테스트기를 비롯해 현대정공에서 제작한 연습용 레이저 활을 선수단에 제공했고, 경기에 출전한 선수들이 먹는 음식까지 직접 챙겼다.

정 회장은 “대한민국 양궁이 세계 최강의 자리를 유지할 수 있는 건 유소년 시절부터 체계적인 훈련과 지원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면서 “유소년 양궁 꿈나무들은 미래 대한민국 양궁을 이끌 뿌리다. 한국 양궁이 풍성한 열매를 맺을 수 있도록 육성과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옴부즈맨 기자 / ombudsmannews@gmail.com입력 : 2021년 07월 26일 21시 17분
- Copyrights ⓒ옴부즈맨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포토&동영상
가장 많이 본 뉴스
아고라
OM인물
회사소개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
상호: (주)옴부즈맨뉴스 /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 277번길 51-21 / 발행인: 김형오. 편집인: 김호중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형오
mail: ombudsmannews@gmail.com / Tel: 02)3147-1112, 1588-4340 / Fax : 02) 364-313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1175 / 등록일2015-02-25
Copyright ⓒ 옴부즈맨뉴스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