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지카바이러스에 비상이 걸린 인천공항 |
ⓒ 옴부즈맨뉴스 |
|
[광양, 옴부즈맨뉴스] 장민구, 유석동 기자 = 한국인 가운데 첫 지카(Zika) 바이러스 확진자가 전남 광양에서 나왔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는 브라질을 방문했다 귀국한 L모씨(43)가 지카바이러스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22일 밝혔다.
L씨(43)는 지카 바이러스 양성 판정을 받아 22일 현재 전남대병원에 입원 중이다. 이 확진자는 지카 바이러스 감염자 발생 지역인 브라질에서 감염 매개체인 모기에 물려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L씨는 지난달 17일부터 지난 9일까지 22일간 브라질에서 업무 목적으로 체류했다가 이달 11일 한국으로 돌아왔다.
이후 닷새 후인 16일 발열과 근육통, 발진 등 가벼운 감기 증상을 보여 유전자 검사(PCR)를 받았으며 이날 오전 6시 지카 바이러스 확진 판정을 받았다.
광양에 있는 대기업 공장 협력업체에서 전기기사(엔지니어)로 근무하는 L씨는 브라질에 있는 계열사에 다녀온 것으로 알려졌다.
L씨는 보건당국에 “모기에 물리지 않으려고 노력했지만 물렸다”고 밝힌 상태다. 현지에서 지카 바이러스 감염자와 접촉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보건당국은 잠복기 등을 감안해 증상이 발현되기 2주 전인 2일께 모기에 물렸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카 바이러스의 잠복기는 보통 2~7일이며 최대 14일이다. L씨와 함께 브라질에서 머물렀던 동료들은 아직 입국 전이며, 현지에서 감염 여부에 관한 역학조사를 진행 중이다.
정기석 질병관리본부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환자의 건강 상태는 양호하다. 임상적으로는 회복단계에 진입했다”면서도 “격리치료가 필요 없으나 국내 유입된 첫 사례임을 감안해 입원 치료 중”이라고 말했다.
|
 |
|
↑↑ 지카바이러스를 옮기는 이집트(흰줄)숲모기 |
ⓒ 옴부즈맨뉴스 |
|
보건당국은 첫 확진자가 발생했으나 해외에서 감염돼 국내로 유입된 사례인데다 감염 매개체인 흰줄숲모기의 활동기간도 아니어서 모기로 인한 2차 전파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현재 ‘관심’ 단계인 감염병 위기경보 수준도 유지키로 했다.
광양시와 보건소 등도 국내 첫 지카 바이러스 환자가 광양에서 발생한 만큼 긴급대책회의를 여는 등 후속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특히 브라질과 한국에서의 행적 등에 대해서도 집중 조사 중이다.
|
 |
|
↑↑ 지카바이러스의 감염증이란?(출처:질병관리본부) |
ⓒ 옴부즈맨뉴스 |
|
시 관계자는 “첫 지카 바이러스 환자가 광양에서 발생한 만큼 시 차원에서 전염 등 예방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며 “접촉 등 사람 사이 감염이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만큼 시민들이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