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4-04-25 오후 03:48:36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전체 정치·경제·사회 지자체·공공기관 국방·안보 교육 건강·환경·안전 글로벌(외신) 문화·예술 연예·스포츠
뉴스 > 전체

국민공천제 합의 부도 위기, 공방 잠복 상태서 여론 향방 관심

입장차 큰 청와대 ,새민련 비주류
김광문 기자 / 입력 : 2015년 10월 02일 18시 28분


추석 연휴기간중 ‘김.문 전격합의 대타협’으로 주목 받았던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합의안이 연휴후 이런저런 이유로 격론이 심해져 부도 합의가 될 공산이 커진 가운데 혼란이 가중되는 양상이다.

현재는 청와대의 반대 기류가 확실히 표명되고 김무성대표가 칩거 하루만에 청와대에 공방을 자제하길 희망해 잠복된 상태이다.

이런 가운데 김무성 대표와 문재인 대표의 ‘안심번호 국민공천제’의 수용여부를 두고 정치권이 뜨거워진 가운데, 국민 절반이 이에 찬성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가 JTBC의 의뢰로 실시해 2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여야대표가 협의한 안심번호국민공천제에 찬성한다는 응답은 48.8%로 절반 가까운 국민이 긍정적으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한다는 응답은 27%에 불과했고, ‘내용을 잘 모른다’고 답한 응답자는 24.2%였다.

정당지지층 별로 새누리당 지지층에서는 반대의견이 46.9%로 찬성한다(29.5%)는 의견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다. 반면 새정치연합을 지지한다는 응답층의 74%는 찬성한다고 답했고, 무당층에서도 찬성한다는 의견이 49.6%로 반대한다는 의견(15.9)보다 월등히 높았다.

이번 안심번호제를 바라보는 지역별 편차였다. 야권지지세가 강한 광주·전라 지역 응답자의 55.8%가 찬성한다고 답해 가장 호응도가 높았다.

‘호남민심이 새정치연합을 떠나고 있다’며 문재인 대표 등 친노를 압박하던 비주류의 주장이 무색해진 모양새다. 광주·전라 지역 다음으로는 대전·충청·세종이 53.1%로 높은 찬성비율을 보였다.

더욱 주목되는 부분은 부산·경남·울산 지역의 여론이다. 이 지역 응답자의 49.9%가 안심번호제에 찬성한다고 답해 서울보다도 높은 3위에 위치했다.
전국 평균보다 높았음은 물론이다. 반면 박근혜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이자 새누리당 지지세가 강한 대구·경북 지역은 40.7%로 전국 권역 중 가장 찬성의견이 적었다. 새누리당의 지역적 기반인 영남의 여론이 둘로 나눠진 모양새다.

양당 대표가 추석연휴 부산에서 만나 ‘협의’한 내용을 청와대에서 공개적으로 비토를 놨다.

비록 공식입장이 아니었기에 ‘청와대 고위관계자’의 멘트로 격하됐지만, 박근혜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게 정치권 안팎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결과적으로 부산의 차기 대권주자들을 대구·경북의 대통령이 찍어 누른 모양새가 연출된 셈이다. 이를 바라보는 부산의 민심이 이번 여론조사에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그림은 과거 노태우 정부 시절, 김영삼 총재 구도를 연상시킨다는 분석도 있다. 김 대표가 상도동계 막내 출신이라는 점에 착안해서다.

노태우 정부 당시 김영삼 전 대통령은 ‘호랑이를 잡기위해 호랑이 굴로 가겠다’며 3당 합당을 했지만, 상황은 녹록지 않았다. 주류였던 민정계는 ‘6공 황태자’ 박철언 전 의원을 후계자로 밀고 있었고, 상대적으로 당내 세력이 약했던 김 전 대통령은 대선후보조차 되지 못할 위기에 놓였다.
이때 김 전 대통령을 지켜준 게 바로 부산·경남의 지지였다. 내각제 합의각서 유출사건에 반발해 마산에 칩거를 결정한 김 전 대통령은 이후 PK여론을 등에 업고 결국 대권까지 차지하게 됐다.


김광문 기자 / 입력 : 2015년 10월 02일 18시 28분
- Copyrights ⓒ옴부즈맨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포토&동영상
가장 많이 본 뉴스
아고라
OM인물
회사소개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
상호: 옴부즈맨뉴스 /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 277번길 51-21 / 발행인: 김형오. 편집인: 김호중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형오
mail: ombudsmannews@gmail.com / Tel: (031)967-1114 / Fax : (031)967-113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1175 / 등록일2015-02-25
Copyright ⓒ 옴부즈맨뉴스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