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심재홍의 논리적 글쓰기   +크기 | -작게 | 이메일 | 프린트
학교 독서논술지도위원회의 조직, 운영
2016년 04월 29일 [옴부즈맨뉴스]

학교 독서논술지도위원회의 조직 및 운영

논술은 특정의 지식이나 정보가 풍부한 것만으로 잘 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세련된 글 솜씨만으로도 부족하다. 이런 점에서 논술을 독립된 교과로 가르치는 방법이 과연 효과적인지에 대해서 의문이 있다. 오히려 논술은 범교과적으로 또 통합적으로 지도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다고 지금까지와는 다른 특이한 방식을 도입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기도 하거니와 반드시 그럴 필요도 없다. 독서교육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모두가 공감하고 있는 터이어서 어느 학교이건 대개 독서지도위원회가 설치되어 학교의 독서교육을 이끌어 나가고 있다.

논술교육은 독서교육과 연계하여 기존의 독서지도위원회에서 관장하면 될 것이다. 독서와 논술은 불가분의 관계가 있으므로 기존의 독서지도위원회를 독서논술지도위원회로 바꾸어도 관계없다.

이름이야 어떠하든 유의할 점은 위원회의 구성을 국어과 교사로만 해서는 곤란하다. 논술이 국어과에서 다루는 글짓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학교의 논술교육을 제대로 담당하기 위해서는 독서논술지도위원회의 구성은 과학, 사회, 도덕 등 주요 교과 교사를 망라해야 한다. 학생들이 읽어야 할 책을 다방면으로 소개하고, 다양한 주제에 대한 토의를 가능하게 하려면 독서논설지도위원회의 구성을 여러 교과의 열정적인 교사들로 해야 하는 것이다.

독서논술지도위원회에서는 연간 계획(장기적으로는 3년간 계획)을 작성하고 그 총괄적인 책임을 지고 운영해 나간다.
독서지도위원회라고 부르든 독서논술위원회라고 부르든 간에 학생들의 독서와 논술을 담당할 기구를 두고 이를 학교교육계획에 체계화하여 반영할 필요가 있다.

(주의 : 필자의 생각이 항상 타당한 것은 아님을 밝혀 둡니다.http://blog.naver.com/eagleshim)

옴부즈맨 기자  ombudsmannews@gmail.com
“”
- Copyrights ⓒ옴부즈맨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옴부즈맨뉴스 기사목록  |  기사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