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새누리당 5곳의 공천추인을 거부한 김무성 대표 |
ⓒ 옴부즈맨뉴스 |
|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24일 "유승민·이재오 의원 등의 지역구인 서울 은평을, 송파을, 대구 동구갑, 동구을, 달성 5곳은 무공천 지역으로 남기겠다"고 했다.
한 마디로 집권당의 대표로서 오랜만에 체통을 세우는 일이다. 새누리당의 공천을 지켜 본 일부 국민들은 친박의 전횡에 질질 끌러가는 김무성 대표를 보며 ‘물대표’라며 대선주자의 면모를 의심하기까지 했다.
김 대표는 "잘못된 공천을 최소한이나마 바로잡기 위해 5곳에 대한 공천관리위의 결정에 대해 의결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며 "후보 등록이 끝나는 날까지 최고위원회를 열지 않겠다"고 했다.
이 지역들은 박근혜 대통령과 친박에 의한 보복 공천 논란이 거셌던 곳으로, 김 대표가 ‘불공천’이라는 뚝심을 발휘하고 있다. 깃발만 꽂으면 당선인 여당 텃밭에 당 대표가 당명의의 씨를 뿌리지 않겠다고 하는 일은 헌정 이래 처음이다.
보복을 당한 의원들이 무소속으로 출마를 하여 살아 돌아오라는 메시지다. 이미 공관위의 공천을 받은 이들은 “닭 쫓던 개”가 되고 말았다. 후보 등록 말일까지 선거판을 송두리째 뒤흔든 이번 사건은 친박의 독선과 오만이 빚어 낸 결과다. 집권당에서 벌어지는 이전투구가 국민의 웃음거리가 되고 있다.
김 대표의 이번 결정은 초강수로 대선가도에서 승부수를 띄운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더 이상 밀리게 되면 ‘물대표’로 낙인이 찍혀 설자리를 잃게 된다. 친박에서 이런 지경을 만들어 놓고 “공천된 친박 후보들이라고 해도 출마 기회 자체가 봉쇄당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친 보수언론과 여론몰이를 하는 것은 더 가관이다. 그들만의 주장이고, 궤변에 불과하다, 많은 국민들은 김대표의 용단에 박수를 보내고 있다. 그 일이 정의의 일이기 때문이다.
김 대표도 당 대표로서 사전에 차단하지 못한 책임도 있다. 초기 공관위 구성과 이한구 위원장을 거부했어야 했다. 이제 지나간 일이다.
김 대표는 "당을 떠난 동지들이 남긴 '정의와 민주주의가 아니다' '사천(私薦) 밀실 공천에 불복하겠다'는 말이 가슴에 비수로 꽂힌다"고 소회를 밝혔다. 김 대표의 극단적 처신에는 동의하지 않더라도 이 말에는 공감하는 국민이 적지 않을 것이고, 사실 힘을 실어주고 있다.
친박은 유승민 의원에 대해선 마지막까지 공천 심사를 미뤄 고사(枯死)시키는 모습까지 연출했다. 이를 지켜본 국민이 대단히 식상해 있다.
대화나 수습은 그들이 알아서 해야할 일이지만 이런 파국에서 친박보다는 김무성 대표의 극단적인 저항에 우리 국민은 박수를 보내고 있다. 따라서 김무성 대표는 정치생명을 걸고라도 정의를 실현해야 대선도 보이고, 입지도 넓어질 것이다.
|